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for effect on Government R&D Subsidies by using PSM

성향점수 매칭을 이용한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 효과분석

  • 최석준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과) ;
  • 김상신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과)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Trend of R&D expenditure in Korea during the last 10 years, the R&D expenditure has been constantly increasing at an average rate of 10%. The government R&D ekpenditures or subsidies are increasing rapidly But the studies of evaluating impact of government R&D subsidies are few.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vernment R&D subsidies on private firm's R&D investment in Korean industry b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hich sign as to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bsidies and private R&D investments is on stimulating or displacing private R&D expenditures. Empirically, a firm with government R&D subsidy are 733 million dollar more expenditure then don't receive any government R&D funding. Also Government R&D subsidies greatly increas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ny financed R&D expenditures only for large firms but had no effect on the R&D expenditures of small & medium sized firms and venture firms.

우리나라 정부의 '06년도 연구개발예산은 8조77백억원 규모로 25년 사이에 670배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율도 지난 10년간 10%대를 유지하였다. 정부의 연구개발예산 또는 연구개발보조금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이 민간 자체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부 연구개발 직접보조금이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를 진작 또는 대체 시키는지 여부 및 기업유형, 인종별 정부의 보조금 효과가 달라지는가에 대해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방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PSM 분석결과 정부의 연구개발 보조금을 받은 기업은 받지 않은 기업보다 연구개발 투자를 평균적으로 7억33백만원 더 지출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대기업과 서비스업의 보조금 수혜기업이 연구개발투자 지출을 더 많이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R&D 지원 정책이 기업 특성 등에 따라 보다 맞춤형으로 전환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부,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 2007
  2. 권남훈, 고상원, "기업 R&D 투자에 대한 정부 직접 보조금의 효과", 국제경제연구, 제10권 제2호, 2004.
  3. 고상원, 권남훈, 이경남, 민간 IT연구개발자에 대한 정부보조금의 효과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4. 김상신,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과 경제학 석사학위 논문, 2008.
  5. 김학수,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원, 2007.
  6. 박항식, 국내기업의 R&D투자 결정과정에 정부의 자금지원제도가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과학기술평가원, 2002.
  7. 신태영, 정부연구개발투자와 민간연구개발투자의 상호보완성에 대한 실증 분석, 과학기술정책 제15권, 2005.
  8. 이병기, 정부의 연구개발 보조가 민간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원, 2004.
  9. 이석원,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에 의한 실업자 직업훈련 사업의 효과성 평가", 한국행정학보, 제37권 제3호, 181-199, 2003.
  10. 최석준, 김상신,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의 기업자체 R&D투자에 대한 효과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0권 4호, 2007.
  11. Busom, I., "An Empiric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R&D Subsidies",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9(2), pp. 111-148, 2000. https://doi.org/10.1080/10438590000000006
  12. David, P.A., B.H. Hall and A.A. Toole, "Is PublicR&D a complement or substitute for private R&D?A review of the econometric evidence", Research Policy 29, 497-529, 2000. https://doi.org/10.1016/S0048-7333(99)00087-6
  13. Dehejia, H. and Wahba, S, "Casual Effects in Non-Experimentra Studies: Re-Evaluating the Evaluation of Training Programs,", Harvard University, Chapter 1, 1997.
  14. Fier, A., "The Impact of Government Funded R&D Activities in German Industry", Centre for European Economic Research (ZEW), 2002.
  15. Goolsbee, A., "Does Government R&D Policy Mainly Benefit Scientists and Engineers?", NBER Working Paper No. 6532, 1998.
  16. Kaiser, D., "Private R&D and Public R&D subsidies : Microeconometric Evidence from Denmark.", CEBR, 2004-19, 2004.
  17. Lach, S., "Do R&D Subsidies Stimulate or Displace Private R&D? Evidence from Israel", NBER WP, No. 7943, 2000.
  18. Lach, S., "Do R&D Subsidies Stimulate or Displace Private R&D? Evidence from Israel",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2002.
  19. Rosenbaum, Paul and Rubin, Donald.,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Vol.70, No.1:41-55, 1983. https://doi.org/10.1093/biomet/70.1.41
  20. Wallsten, S. J., "The Effects of Government -Industry R&D Programs on Private R&D: The Case of the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eh Program.", The Rand Journal of Economics, 31(1), pp.82-100, 2000. https://doi.org/10.2307/2601030

Cited by

  1. The Effects of R&D Public Subsidies on Service Firms' Innovation Activities vol.11, pp.5,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5.1829
  2. An effect analysis of reg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support policies: focused on Gyeongbuk province in Korea vol.19, pp.3, 2015, https://doi.org/10.1080/12265934.2015.1043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