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단위 성과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a Tool for Evaluating Nurses' Performance in Hospital Units

  • 박성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 김진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 박광옥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 간호부) ;
  • 김명숙 (서울아산병원 수술간호팀) ;
  • 김세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투고 : 2009.05.25
  • 심사 : 2009.06.22
  • 발행 : 2009.08.31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tool for evaluating nurses' performance by using Balanced Score Card (BSC) in hospital units. Methods: Preliminary survey was done in 10 hospitals to investigate evaluation criteria for nurses' performance. For the main study, each of 14 nursing managers evaluated 2 nursing units (total of 28 nursing units) to verify the sensitivity of the tool criteria. The evaluation result drawn from the preliminary BSC tool was analyzed to verify the sensitivity and validity of the tool. Results: As a result, nurses' performance evaluation tool consisted of 4 categories, 8 objectives, and 14 criteria was developed. Conclusion: The BSC tool for nurses' performance evaluation provides meaningful data in evaluating nursing performance in hospital unit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병원간호사회

참고문헌

  1. 강경화(2003). 균형성과표를 적용한 병원 간호단위 성과평가 지표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 강경화, 김인숙(2005).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병원 간호단위 조직성과 평가지표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5 (3), 451-460.
  3. 고대기업경영연구소(1972). 정부투자기관의 경영평가와 인센티브시스템의 확립에 관한 연구 . 서울: 고대출판사.
  4. 김식현(2000). 인사관리론. 서울: 무역경영사.
  5. 김종경(2005). 병원 간호조직 유효성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6. 류지인(2001). 균형성과표(BSC)를 이용한 수술실 간호부서의 성과평가지표 개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박광옥(1994). 간호생산성에 관한 연구: 관련변수의 검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8. 박광옥(2002). 임상실무에서 BSC 접근 전략. 2002년 간호행정학회 추계 학술세미나 자료집 , 19-33.
  9. 박성애(1989). 간호단위 조직내 리더십과 간호업무수행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0. 박성애(2005). 간호관리학. 서울: 박문각.
  11. 박성애, 박광옥, 김세영, 성영희(2007). 표준화된 간호사 인사고과 도구개발. 임상간호연구, 13 (1), 197-211.
  12. 박신혜(2004). 조혈모세포이식 간호단위의 성과평가지표 개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3. 송경자, 박승현, 조정숙, 권미경, 박정선, 남승남 등(2006).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12 (1). 97-108.
  14. 이기원(2006). 국내 기업에서의 BSC 발전모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5. 이상림(2008). 병원 간호인력의 생산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6. 이순묵, 탁진규, 한인수, 황규대(2007). 인적자원관리 프론티어 . 서울: 박영사.
  17. 이희원, 유승흠, 이해종, 박창일(2000). S병원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5 (1). 1-23.
  18. 하나선, 박효미(2007). 내부마케팅 활동에 대한 인식정도가 간호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3 (2), 7-16.
  19. 한수정(2001). 병원 간호조직문화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 Daft, R. L. (2007). 조직이론과 설계. (김광점, 박노윤, 배보경, 설현도, 송상호, 이호선 등 역). 서울: 한경사.
  21. Drucker, P. F. (2002). 프로페셔널의 조건. 서울: 청림출판.
  22. Dunton, N., Gajewski, B., Klaus, S., & Pierson, B. (2008). The relationship of nursing workforce characteristics to patient outcomes. Retrieved June 1, 2008, from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 569394.
  23. Fitzpatrick, M. A. (2002). Let's bring balance to health care. Nursing Management, 33(3), 35-37.
  24. Kaplan, R. S., & Bower, M. (2003). Applying the balanced scorecard in healthcare provider organizations. Journal of Healthcare Management, 4(3), 179-195.
  25. Montalvo, I. (2008). The national database of nursing quality indicators(NDNQI). Retrieved June 1, 2008, from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569395.
  26. National Quality Forum(NQF) (2008). Nursing care quality at NQF. Retrieved October 6, 2008, from http://www.qualityforum.org/nursing
  27. Niven, P. R. (2003). BSC step by step 성과창출과 전략실행 . (삼일회계법인(PwC)경영컨설팅본부 역.). 서울: 시그마인사이트컴.
  28. Norton, D. P., & Kaplan, R. S. (1992). The balanced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Jan, 71-79.
  29. Norton, D. P., & Kaplan, R. S. (2002). 가치실현을 위한 통합 경영지표 BSC (송경근, 성시중 역.). 서울: 한국언론자료간행회.
  30. Pineno, S. J. (2002). The balanced scorecard: An incremental approach model to health care management. Journal of Health Care Finance, 28(4), 69-80.
  31. Santiago, J. M.(1999). Use of the balanced scorecard to improve the quality of behavioral health care. Psychiatric Services, 50(12), 1571-1576. https://doi.org/10.1176/ps.50.12.1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