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e-Migration Information Cognition on the Satisfaction of Korean Life and the Attitude on Sending Information: Focused on Migrant Workers in Busan and Kyeongnam

유입 전 정보인지가 한국생활만족과 정보발신태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경남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

  • 김희재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
  • 장익진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나금실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satisfaction of Korea life and attitude on sending information is influenced by the information cognition rate of Korea before influx to Korea. The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to survey migrant workers in Busan and Kyeongnam area. The results show a tendency towards a higher information cognition when the information was acquired through manpower supply agencies and media information. In addition, among the variables of information cognition, when 'socio-economical' factor was high, the satisfaction rate of Korea life tended to be higher. Also, when the 'workplace environment satisfaction' factor was high, attitude on sending information tended to be positive.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measures for establishing information policies, such as provision of high quality information,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 route which are necessary for migrant workers.

이 연구는 한국 유입 전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에 관한 정보인지도가 한국생활만족과 정보발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함께 부산 경남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에 관한 정보는 인력송출회사와 매체정보에 주로 의존하고 있었다. 유입전에 습득한 정보인지 중에서 '사회 경제정보인지' 요인이 높을수록 한국생활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생활만족에서는 '작업장환경만족' 요인이 높을수록 정보발신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주노동자들에게 필요한 양질의 정보제공과 정보경로의 다양화 등 정보정책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돌. 2003. 외국인 노동자 고용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석현호 외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서울:지식마당.
  2. 국가인권위. 2007. 고용허가제 시행이후 몽골과 베트남의 이주 및 국제결혼과정에 나타난 인권침해 실태조사.
  3. 권태환, 박광성. 2005. 국내 조선족의 사회적응과 정책 -조선족 노동자 집단의 형성. 최협 외,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서울: 한울.
  4. 김수재. 2008. 외국인노동자의 문화적 갈등과 대응 - 인도네시아 노동자를 중심으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논총, 38: 153-182.
  5. 박경태. 2001. 노동력 송출국에서 본 이주 노동자의 사회적 연결망: 필리핀 가족과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신학연구소, 신학사상, 113(6): 26-48.
  6. 석현호. 2003. 외국인 노동자 연구의 배경과 설계. 석현호.정기선 외.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서울: 지식마당.
  7. 석현호, 이혜경. 2003. 외국인 노동자의 특성과 이주과정.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서울: 지식마당.
  8. 석현호 외. 2003.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지식마당.
  9. 설동훈. 2001. 노동력의 국제이동. 서울: 서울대출판부.
  10. 심보선. 2007. 온정주의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과 변화 - 한국의 다문화 정책을 위한 시론적 분석 -. 담론201, 10(2): 41-76.
  11. 윤선오, 박명호, 권장수. 2005. 이주노동자 현황 및 개선 방안. 복지행정학회, 15(2): 221-260.
  12. 이용재, 배화숙. 2008. 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및 정보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479-504.
  13. 이정환. 2003. 외국인 노동자 공동체와 관련 NGO. 석현호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지식마당.
  14. 이제환, 이연옥, 장덕현. 2004. 소외집단에 대한 정보형태 연구의 방법론적 특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2): 273-295.
  15. 이제환, 윤유라. 2005. 외국인 노동자 H의 삶과 정보빈곤.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1): 81-202.
  16. 이주노동자인권연대. 2005. 고용허가제 실태조사 보고서 - 고용허가제 시행 1년, 그 실태와 개선방향. 이주노동자인권연대.
  17. 이주노동자인권연대. 2006. 고용허가제 실태조사 보고서. 이주노동자인권연대.
  18. 이태정. 2004. 한국사회 이주노동자들의 사회적 배제와 연대 -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 사례.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논문집, 717-724.
  19. 정기선. 2003.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접촉, 사회적 거리감과 인상변화. 석현호 외.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삶. 서울: 지식마당.
  20. 최협 외. 2005.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서울: 한울.
  21. 케빈 그레이(Kevin Gray), 2004. “계급 이하의 계급”으로서 한국의 이주노동자들,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아세아 연구, 47(2): 97-291.
  22. 피터 스타거, 이보영 옮김. 2004. 국제 이주. 서울: 이소출판사.
  23. 한건수. 2005. 타자 만들기: 한국사회와 이주노동자의 재현. 최협 외,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서울:한울.
  24. 한진희, 최용석. 2006. 국제노동이동의 경제적 영향 분석 - 외국인 노동자를 중심으로 -. 한국개발연구원, 28(1): 1-22.
  25. 행정안전부. 2008.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행정안전부.
  26. Castles, Stephen. 2000. Ethnicity and Globalization, London: Sage Publications.
  27. IOM. 2005. A Survey on the Labour Emigration Management Systems of 12 Countries of Origin to the Republic of Korea - Indonesia, Mongolia, Philippines, Sri Lanka, Thailand, Vietnam, Cambodia, China, Kyrgyzstan, Pakistan, Timor Leste, and Uzbekistan, IOM Seoul.
  28. IOM. 2006. A Survey on the Labour Emigration Systems of 6 Countries of Origin to the Republic of Korea: Bangladesh, Iran, Kaxakhstan, Myanmar, Nepal and Ukraine, IOM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