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on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about Bone Mineral Density Test of Workers

건강검진을 받은 근로자들의 골밀도검사에 대한 교차분석 보고

  • Choi, Bin-Hy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Kim, Seong-M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최빈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학과 내과학교실) ;
  • 김승모 (대구한의대학교 한의학과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9.12.25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results of bone mineral density test in oriental medical examination. The subjects were workers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The subjects consisted of 3,206 industrial workers who had received oriental medical examination by oriental medicine and they submitted questionnaires about drinking history and smoking history, during 9 months from March to November. They were categorized by sex, age, job class, drinking history, smoking history and exercise history. The T-scores were measured by using OSTEOPRO(BMTECH, Seoul, Korea).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age, job class, drinking history, smoking history, exercise history and the results of bone mineral density using X2-test of the SPSS Ver. 14.0.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osteoporosis prevalence. In job class, sales personnel were apt to have a higher prevalence of osteoporosis than factory workers and office workers. Osteoporosis rates of the drinker group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non-drinker group. Bone mineral densities of non-smoker group were higher than the Smoker group. And bone mineral densities of exerciser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exerciser group. They have to encourage exercise and educate the workers to quit smoking for their health promotion. Furthermore, continuous health check up needs to be done connectedly.

Keywords

References

  1. 윤석주, 김경윤, 김계엽, 남기원, 심기철, 김은정, 정현우, 임형우, 김기도. 두충 추출물 투여와 트레드밀 운동이 골다공증 유발 백서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2(4):884-890, 2008
  2. Felsenberg, D., Boonen, S. The bone quality framework: Determinants of bone strength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for osteoporosis management. Clin Ther. 27: 1-11, 2005 https://doi.org/10.1016/j.clinthera.2004.12.020
  3. 장윤균, 서현주, 진영우, 정미선, 성숙희, 박두용, 김종순, 김수근. 40.50대 일부 남성근로자의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유병실태와 위험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8(2):130-137, 2006
  4. 김영미, 김명희. 여대생의 골다공증 관련 요인에 대한 관심,생활습관 및 음식섭취. 류마티스건강학회지 8(2):287-301, 2001
  5. 최홍식. 쇄양과 두충이 골다공증 유발 흰쥐의 골밀도와 체중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3(2):19-24, 2008
  6. 오치석, 이 현. 음곡(KI10)에 시술한 골쇄보 약침이 난소적출 흰쥐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5(3):71-86, 2008
  7. 정명수, 김성천, 이은경, 천은주, 한종민, 이수경, 강성호, 유택수, 정재열, 송용선, 이기남. 산업장 건강검진의 한의학적 모델 개발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4(1):32-50, 2000
  8. 조병희. 의료문제의 사회학. 서울, 태일사, pp 17-31, 1999
  9. 이은경. 일부 자동차 회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방 건강검진 사업의 결과 평가.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03
  10. 천경수, 오미경, 신영전, 최보율. 건강진단후 건강관련 형태의 변화. 대한가정의학회지 20(8):1012-1026, 1999
  11. 한국산업간호협회. 산업 간호사 직무지침Ⅱ. 1998
  12. 한현정, 정재열, 권소희, 송용선, 장두섭, 이기남. 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방 건강검진의 만족도.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3(2):135-143, 2003
  13. Fuller Albright. Osteoporosis. Ann Intern. Med. 27: 861-882, 1947 https://doi.org/10.7326/0003-4819-27-6-861
  14. 윤상호, 김정구. 폐경 후 골다공증의 최신 치료.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8(4):844-856, 2005
  15. 강병문. 골다공증 치료의 의학약제와 대체 약물의 비교.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9(12):2459-2473, 2006
  16. 김근모. 녹용 및 육미지황탕가녹용이 백서의 운동억제성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경산대학교 대학원. 1993
  17. 강성길, 박영배, 안현석. 골다공증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5(2):171-189, 1995
  18. 송호섭, 황현서, 김기현. 신수에 황정약침액 투여가 난소적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5(1):373-385, 1998
  19. 何紹奇. 現代中醫內科學.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pp 578-580, 1992
  20. 蔣位庄, 王和鳴. 中醫骨病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p 255-258, 1994
  21. 謝應鳴, 張方直, 周文泉, 高普. 補骨生髓膠囊治療腎陽虛證原 發性骨質疏松症的臨床硏究. 中國中西醫結合雜誌 17(9):526-530, 1997
  22. 김진우, 최영길, 김영설, 김광원, 양인명, 김성운 등. 연령증가에 따른 전신골밀도 변화 및 골다공증에서 골절 역치. 대한내분비학회지 5(3):185-192, 1990
  23. 이두형, 원예연. 골다공증의 병인론. 대한고관절학회지 19(3): 255-259, 2007
  24. Broulik, P.D., Jarab, J. The effect of chronic nicotine administration on bone mineral content in mice. Hormone and Metabolic Research. 25(4):219-221, 1993 https://doi.org/10.1055/s-2007-1002080
  25. Gambert, S.R., Schyltz, B.M., Hamdy, R.C. Osteoporosis: Clinical features, prevention and treatment.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Clinics of North America. 24(2):317-371, 1995
  26. 윤수진, 이균상, 문호성. 골다공증의 관련요인. 가정의학회지 17(12):1450-1458, 1996
  27. Rikli, R.E., McManis, B.G. Effect of exercise on bone mineral contents in postmenopausal women. Res Q Exerc Sport. 61(3):243-249, 1990 https://doi.org/10.1080/02701367.1990.10608686
  28. 이기행. 골다공증의 진단. 대한고관절학회지 19(3):260-265,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