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t mechanism of visual attention in anxious and non-anxious population

부정자극 지각에 관련된 불안인과 정상인의 공간주의 비교연구

  • 최문기 (고려대학교 지혜과학 연구센터) ;
  • 구민모 (고려대학교 지혜과학 연구센터) ;
  • 박건우 (고려대학교 병원) ;
  • 남기춘 (고려대학교 지혜과학 연구센터)
  • Published : 2009.03.27

Abstract

Using a modified Posner's cue-target paradigm, we investigated whether negative cues attract more attention than neutral cues in anxious people. Previous studies used commonly an unbalanced proportion of valid and invalid trials(75% vs. 25% respectively). But in the present study, an equivalent proportion of valid and invalids trials was used for measuring detection speed of cues without participant's expectancy caused by the unbalanced proportion. Emotional words(Experiment 1) and facial expressions(Experiment 2) were used as cues for target locations. The result of Experiment 1 and 2 showed that threatening cues facilitated target detection in valid trials and interfered with it in invalid trials in anxious participants and a, reverse response patterns were found in non-anxious participants. This indicates that threatening cues attract more attention to the cued location in anxious people and in contrast, non-anxious people avoid threatening stimuli. In Experiment 3,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validity effect across anxiety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anxious participants gave less attention to cued location when the cues were non-informative whereas non-anxious participants gave more attention to cued locations in the same condition. We discussed two kinds of cognitive bias caused by anxiety levels: attentional bias and proportion related bias.

많은 연구들은 부정과년 자극의 처리가 그 처리자의 정서 상태에 따라 다른 처리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정서 정보 지각의 특성은 크게 두 가지 가정에 의해 논의되었다: 주의 결속(attentional engagement)에서의 차이와 주의해제(attentional disengagement)에서의 차이. 본 연구는 Posner의 cue-target 실험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정서 정보 지각이 일반 자극의 지각과 어떠한 위치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단어 자극을 사용한 실험1과 얼굴 자극을 사용한 실험 2 모두에서 기존의 Fox(2001)에서 나온 결과와는 다르게 정서 자극의 지각이 일반자극의 지각에 비해 주의 결속에서 빠른 반응을 나타냈으며, 이런 경향성은 불안 수준이 높은 피험자에게서만 관찰되었다. 또한, 불안 수준이 높은 피험자들은 일반 피험자들 보다 단서와 목표자극이 일치되는 조건에서 느린 반응을 보였다. 실험 1과 2의 결과가 이 효과와 정서의 혼입되어 나온 결과인가에 대한 통제 실험을 시행한 실험 3에서는 정서 자극 제시 없이 일치 불일치에 대한 결과만을 보았다. 실험 3의 결과는 실험 1과 2가 정서와 피험자의 정서 상태에 의한 결과임을 지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안이라는 정서 상태가 부정적인 자극에 대한 지각을 빠르게 하는 이유가 정서 자극에 대한 빠른 주의결속이 있기 때문임을 지지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