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ed by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Caves

동굴 내.외부 종합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of Cave were classified by type. For tourists, caves are important but surrounding environment of caves is more important.

본 연구는 일반인들에게 동굴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행해졌던 학술적 분류법이 아닌 동굴 외부의 자료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유형분류를 해 보고자 함이다. 최근의 관광은 관광지 한 곳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관광지들도 함께 관광하는 패키지 형태의 관광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것이 최근에 추세이기 때문에 동굴, 그 자체만이 아니라 주변의 환경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굴 주변에 관한 변수들이 많을수록 관광객들에게 더 좋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진, 2005, 관광동굴 주변 관광자원의 유형별분포 특성, 한국동굴학회, 67, 53-64
  2. 김원진, 2006, 동굴관광정보시스템의 구축과 필요성, 한국동굴학회, 74, 61-66
  3. 김원진, 2007, 만장굴·협재쌍용굴 주변 관광자원의 유형별 분포 특성, 한국동굴학회, 83, 49-52
  4. 김철호, 2006, 상가분양가의 군집분석을 이용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부동산학회, 28, 122-132
  5. 남영우, 2001, 인자분석과 군집분석에 의한 세계도시의 유형화, 한국도시지리학회, 4, 1-12
  6. 오종우, 1994, 고씨동굴의 내부지형에 관한 특성과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9, 14-33
  7. 이기철, 2009, 군집분석을 통한 전국 자연휴양림유형분류, 한국조경학회, 37, 9-17
  8. 이다운, 2006, 군집분석을 이용한 국지해일모델 지역확장, 한국기상학회, 16, 259-267
  9. 이동률, 2000, 군집분석을 이용한 동질 강수지역구분, 대한토목학회, 20, 75-78
  10. 정태순, 1988, 군집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생활권설정, 대한건축학회, 8, 285-288
  11. 최준길, 2008, 동강의 어류상과 생태학적 군집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 616-624
  12. 홍시환, 1975, 우리나라 동굴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1, 3-11
  13. 홍시환, 1988, 한국의 자연동굴 총람(상) 4.한국동굴의 유형구분, 한국동굴학회, 17, 34-46
  14. 홍시환, 1990, 한국동굴대관, 삼주출판사
  15. 홍현철, 1993, 만장굴 주변지역의 관광 및 교통특성, 한국동굴학회, 36, 13-31
  16. 홍현철, 1994, 고씨동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 한국동굴학회, 38, 39-45
  17. 홍현철, 1995, 화암동굴의 지형지물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동굴학회, 42, 15-26
  18. 홍현철, 2008, 군집분석을 이용한 동굴 유형분류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8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