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ffect on the Sexuality Elements and their Perceptibility through Sports Images of Portal Media - focusing upon photographs(images) in an Internet portal site, Daum -

포털미디어의 스포츠 영상을 통해 인지된 섹슈얼리티 요소와 섹슈얼리티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다음사이트의 사진(이미지)영상을 중심으로-

  • 박광순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sexuality elements and their perceptibility in the sports photographs and images of internet portal media. The sexuality elements are composed of athletes' uniform, body and external feature. In an analysis of sports' users through portal media,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an experimental group of men. There was the difference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of men and a of men and women sports game. The perceptibility of sexuality imaged by sports images of men and women games in portal media was higher in an of men and women sports game than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 Accordingly, the sexuality imaged through sports images of portal media had a higher effect on sports' men-users.

스포츠선수들에 대한 섹슈얼리티는 '유니폼 관련 섹슈얼리티', '선수의 신체적 특징 관련 섹슈얼리티', '외모관련 섹슈얼리티'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포털사이트의 스포츠 영상에 묘사된 섹슈얼리티가 포털미디어 스포츠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남자 실험집단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집단의 피실험집단과 남녀경기 처치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포털미디어의 스포츠 영상에 묘사된 섹슈얼리티에 대한 인지도는 남자집단의 피실험집단에 비해 남녀경기 처치집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포털미디어의 스포츠 영상에 묘사된 섹슈얼리티는 남성스포츠 소비자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남, 조은기, 최영묵, 정준영, 현대사회의 육체문화와 스포츠,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pp. 251-277, 2008.
  2. 정희준, 권미경, "미디어 시대, 새로운 몸의 등장: 소비자본주의적 몸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0권, 3호, pp. 571-586, 2007.
  3. J. Nauright, "Global games: culture, political economy and sport in the globalised world of the 21st century," Third World Quarterly, Vol.27, No.7, pp. 1325-1336, 2004.
  4. H. Westerbeek and A. Smith, Sport Business in the Marketplace, 2003.
  5. 문화일보, 21면, 5. 28. 2004.
  6. 내일신문, 7면, 8. 16. 2004.
  7. 고은하, 김한주, "한국 신문에 나타난 여성스포츠 사진 보도의 이데올로기", 체육과학연구, 제15권, 제4호, pp. 172-183, 2004.
  8. 조성식, 조광민, "신문스포츠 섹션의 상품화-마케팅 과정과 여자선수의 사진 보도-", 한국스포츠행정.경영학회지, 제3권, 제2호, pp. 229-247, 1999.
  9. 남상우, "일간신문 스포츠 지면에 나타난 여성 선수 사진의 내용 및 의미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45권, 제4호, pp. 101-114, 2004.
  10. http://serendip.brynmawr.edu/local/scisoc /sports02/papers/kclarke.html
  11. L. A. Wenner, Media Sports, 1998.
  12. http://www.barnard.edu/sfonline/sport/buysse 01.htm.
  13. 이호영, 윤성옥, "베이징 올림픽 중계방송 편성에 관한 분석: 성별, 국가주의, 중복.편성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1호, pp. 279-314, 2009.
  14. 박광순, "TV 스포츠 여상을 통해 인지된 섹슈얼리티와 시청만족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3호, pp. 137-151, 2009.
  15. N. R. Krassas, J. M. Blauwkamp, and P. Wesselink, "MASTER YOUR JOHNSON: SEXUAL RHETORIC IN MAXIM AND STUFF MAGAZINES," Sexuality & Culture, Summer, pp. 98-119, 2003.
  16. V. Schneider, K. Cockcroft, and D. Hook, "The Fallible Phallus: A discourse analysis of male sexuality in South African men's interest magazine,"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38, No.1, pp. 136-151, 2008. https://doi.org/10.1177/00812463080380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