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어린이만화의 진단과 과제

Analysis and Project About Creative Child Cartoon

  • 장진영 (상명대학교 만화디지털컨텐츠학부)
  • 발행 : 2009.08.31

초록

본 연구는 창작어린이만화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원인을 다각도로 살펴보는데 있다. 또 원인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학술행사를 추진함으로서 다양한 의견을 집약하는 과정을 갖고자했다. 본론에선 우선 어린이만화의 현황을 개괄하면서, 당면한 주요과제로 창작어린이만화를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일과 만화에 대한 가치평가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학술행사를 통해 수렴된 다양한 의견을 열거하였는데, 주로 만화에 대한 편견을 개선하는 일이 중요하다는데 보았다. 만화를 바라보는 편견에 대한 반박논리로는 첫째, 창작어린이만화는 창의적인 감수성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교육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은 활자를 중시하는 문화 탓에 만화가 활자문화보다 더 발전된 전달방식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는 것이다. 셋째, 창작어린이만화가 공부에 지장을 주는 게 아니며 폭력적 성향과도 무관함을 강조했다. 넷째, 창작어린이만화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큰 요인은 부모들의 편견도 무시 못 하지만 정보암기중심의 입시교육제도가 궁극적 원인이라는 것이다. 결론으론 만화의 미적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점검할 정론지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The aim of the thesis is to examine why children comics books are not popular in Korea and how to analyze the causes for solution. The way for solving the problems is to make academic events and make a public opinion about children comic books. In the subject, we introduce children comic books and define them, actually when we do that, we have realized that most people misunderstand children comic books so we should change them to take the adventagement. Next, Through academic events, we have enumerated the variety of opinions. Mainly, we have concluded about the improvement of the misunderstanding comics. There are some prejudices of children comics. First, we are in a need of comics, that are very creative and sensitive. They are very important to develop children's character. Second, Korean people think,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literature is a letter more than pictures, That causes not to develop motion pictures, cartoons and even plays. Third also, creative children comics don't effect not only studying but also children violence. Fourth, We can't ignore the prejudice of the comic books from parents, The main reason why comic books aren't popular in korea is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at makes student like a studying meachine. The conculusion of this study is that We will educate Korean people to understand comic books and redefine them for development the comic book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