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청기 감독의 <다윗과 골리앗>과 성경의 서사 비교

Comparison between the director Cheong-gi Kim's and Narration of Bible

  • 발행 : 2009.08.31

초록

1970년대 TV의 보급으로 한국영화의 침체기에 1976년 김청기 감독의 <로보트 태권V>가 흥행됨으로써 극장용 애니메이션 제작에 활기를 불어 넣어준다. 그러나 80년대 들어서면서 신군부의 등장으로 SF애니메이션이 어린이들에게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방송이 금지되고, 칼라 TV방송과 비디오 레코드의 보급으로 외국의 다양한 애니메이션이 유입되면서 국내 애니메이션 제작에 침체기를 맞이한다. 이때 김청기 감독은 성경의 이야기를 소재로 애니메이션 <다윗과 골리앗>을 제작하여 침체기를 극복하고자 한다. <다윗과 골리앗>의 원작인 성경은 문자언어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역사적 사건을 기술하듯 간략하게 서술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으로 매체 전이 되는 과정에서 서사구조의 변형이 일어난다. 애니메이션은 현실과 똑같은 재현이 아니라 현실을 재구성하여 신뢰감 있는 새로운 세계의 창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물의 변형과 새로운 보조인물의 등장과 함께 서사의 확장과 축소가 나타난다. 이러한 노력에도 <다윗과 골리앗>은 그 시대의 사회 문화적 환경과 대중성 확보에 기반을 두지 못한 성경의 지나친 재현으로 작품의 완성도와 흥행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본 논문에서는 김청기 감독의 <다윗과 골리앗>이 성경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매체 전이 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서사의 변형을 확인하고, 같은 소재로 제작된 다른 감독의 애니메이션 <다윗과 골리앗> 두 편과 비교하면서 향후 종교 애니메이션의 제작 방향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In the1970's, Korean movie industry was down because of widely supplied Television. During the time, directed by Kim Cheong-ki was Big hit at the box-office that is bring Korean feature animation industry back to life. In 80's, when new military regime started, SF animation was prohibited to be on air by government because that assumed have bad influences on children, and korean animation industry was faced with recession, such as various imported foreign animations which were on color TV and wildly provided video recorders. At that time, director KIM Cheong-ki try to overcome the recession of animation industry by producing, < David and Goliath>, which was based on the Bible. The Bible, was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and had written by the time flow, that made few changes while it was transformed to a feature animation. Animation does not only reproduce the reality as it is, but also analyzing the story to create a new reliable world, by changing characters, creating new supporting characters, and expanding and reducing of narrative. Despite of such an effort, didn't achieve it's goal at the box office and not satisfied audience either because it was excessive reproduction of the Bible, not standing on the basis of those days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popularity. This study is aimed at confirming changed narrative shown Kim Cheong-Ki's, and compare it with two other animated, directed by others, so that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the religious feature animation produ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