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arget Position on the Bowling Motion

목표위치가 볼링투구동작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arget position on the bowling motion. Four female high school athletes with more than four years of bowling experiences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a subject treats the 1st pin, The spin angle of a coxa for the target position is largely kept from the downswing to the backswing peak point. When a subject treats the 7th pin, As the 7th pin exists at the left side for the right shoulder axis of the thrower, the movement of the ball center of the thrower from side to side is the lowest. In addition, the time required and horizontal speed appear the highest in the release section. The slant angle of a shoulder is largely increased as she moves from the backswing peak point to the release section. The twist angle of a shoulder also appears small as a throw motion is made toward the left side. When a subject treats the 10th pin, The spin angle of a shoulder and the twist angle of a body in motion appear the largest in the release section. So, there are the effects of target position on the bowling motion.

이 연구는 목표위치가 볼링투구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볼링경력이 4년이상의 여자 고교선수 4명을 대상으로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영상을 통해 볼링투구동작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보면, 1번 핀을 처리할 때는 목표위치를 향하여 고관절회전각은 다운스윙에서 백스윙정점까지 크게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번 핀을 처리할 때는 투구하는 오른쪽 어깨측에 대하여 7번 핀은 좌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대상자의 볼중심위치의 좌우이동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릴리즈구간에서 소요시간과 수평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어깨기울기각은 백스윙정점에서 릴리즈구간으로 갈수록 크게 증가하였으며, 좌측방향으로 투구동작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어깨회전각이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번 핀을 처리할 때는 릴리즈구간에서 어깨회전각과 동체뒤틀림각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목표위치는 볼링투구동작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후(1994). Kwon3D Motion Analysis Package version 3.1.
  2. 김승재, 신제민, 김로빈(2004). 볼링에서 기술수준에 따른 던지는 팔분절사이의 동역학적 특성. 한국체육학회지, 43(3), 779-788.
  3. 류지선, 이연종, 금명숙(1998). 볼링 5스텝 투구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제36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620-625.
  4. 이경일(2000). 볼링투구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I). 한국운동역학회지, 9(2), 129-144.
  5. 이해명(1997). 볼링 스윙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6. 이해명, 이성철, 이해동(2006). 볼링 투구동작의 운동역학적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6(3), 53-63.
  7. 이훈표(2004). 볼링 릴리즈시 볼의 속도에 대한 상지 분절의 기여도와 착지구간의 역학적 변인과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8. 조문상(2001). Bowling투구동작의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운동 역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9. Abdel-Aziz, Y. I., & Karara, H. M.(1971).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from comparator coordinates into object space coordinates in close-range photogrammetry. In Proceedings of ASP/UI Symposium on Close-Range Photogrammetry, (pp. 1-18). Falls Church, VA : American Society of Photogrammetry.
  10. Adrian, M. J., & Cooper, J. M.(1989). Biomechanics of human movement(2nd ed.). Dubuque, IA: Brown & Benchmark.
  11. Armbruster, D. A., Irwin, L. W., & Musker, F. F.(1967). Basic Skills in Sports for Men and Women(4th. ed). St. Louis: Mosby Books.
  12. Borden, F.(1991). Bowling: Ten Keys to Success. Bowling Conceps, Inc.
  13. Culver, E. J.(1971). Bowling, in individual Sports for Women. ed. Broer, M. R., Philadelphia, W. B. Saunder Co.
  14. Kidwell, K., & Smith, P.(1960). Bowling Analyzed. Dubuque. Iowa, William, C. Brown Company.
  15. Kwon, Y. H.(2006). KWON3D Motion Analysis Package Version 3.1 User's Reference Manual. Seoul, Korea : Visol Corp.
  16. Murase, Y., Miyashita, M., Matsui, H., Mizutani, S., & Wakita, H.(1974). Biomechanics of Bowling. In R.C. Nelson & C.A. Morehouse(Eds.), Biomechanics IV, 291-297.
  17. Plagenhoef, S. C., Evans, F. G., & Abdelnour, T.(1983). Anatomical Date for Analyzing Human Motion.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4(2), 169-178. https://doi.org/10.1080/02701367.1983.10605290
  18. Ritger, D.(1978). The Complete Guide to Bowling Spares. Tempz, AZ : Ritger Sports.
  19. Walton, J. S.(1981). Close-Range Cine-Photogrammetry: A generalized technique for quantifying gross human mo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