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y design identity with application of the region's emotional image factors

감성적 지역 이미지요소를 적용한 도시디자인 아이덴티티

  • Heo, Seong-Cheol (Daewoo Lucoms Co., Ltd.) ;
  • Hong, Seong-Soo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Eng.,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
  • Kim, Eok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Eng.,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 허성철 ((주)대우루컴즈) ;
  • 홍성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디자인공학과) ;
  • 김억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디자인공학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basic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ity image ideas and methods of appli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mage factors in making proposal for integrated design for public facilities. Through understanding and analyzing natural, environmental, industrial characteristics, the city was subdivided into urban, marine, inland, and industrial complex areas. Also, local residents' attitude survey and the city's cultural iconic image survey analysis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the survey results were used to establish the strategy for Pohang's city design identity and were applied in public facility design development process. Developing from the identity motive, "texture", the images of "iron", "marine", "science" were selected as core image of identity and were applied as design factors. Four unique colors were selected for each areas based on scenery color analysis. For facilities that needed to be installed separately in all four areas, "application of color and material consistency" and "application of shape consistency and partial color diversity consistency" were suggested to integrate the image of the city as a whole through establishing distinctive image for each area.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통합적 디자인을 제안하는 데 있어 지역의 특성과 이미지 요소의 분석을 기초로 한 도시이미지 아이덴티티 도출과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에 특정지역으로서 포항시를 대상으로 하여 자연적 특성, 환경적 특성, 산업적 특성의 이해와 분석을 통하여 권역을 도심권, 해양권, 내륙권, 공단권으로 세분화하여 정의하였다. 또한 시민의 의식 조사와 지역의 문화적인 상징 이미지 조사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포항시의 도시디자인 아이덴티티 전략을 수립하여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 과정에 적용하였다. '결'이라는 아이덴티티 모티브를 바탕으로 '철', '해양', '과학'의 이미지를 아이덴티티의 핵심이미지로 선정하여 디자인요소로서 적용하였다. 그리고 경관 색채 분석으로 세부 권역별로 4가지의 전용 색채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4개의 권역별로 나누어 설치가 필요한 공공시설물은 단위지역의 차별화된 이미지 확립을 비롯하여 도시 전체의 이미지 아이덴티티를 통합화할 수 있도록 "색채와 소재의 일관성 적용" 방안과 "형태의 일관성 및 부분적 색채의 다양성 적용"하는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