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우리나라 주요 일간지 및 TV 건강정보의 내용분석

Contents Analysis on the Health Information of Major Daily Newspaper and TV in Korea

  • 임규광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홍지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유인숙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Lim, Kyu-Kwang (Dep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Konyang University) ;
  • Lee, Moo-Sik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Hong, Jee-Young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Yoo, In-Sook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발행 : 2009.10.31

초록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일반대중이 건강관련 정보 습득의 한 경로인 대중매체 중 주요 일간지와 KBS1 9시 뉴스, TV 방송국의 건강연재 프로그램에서 다루고 있는 건강관련 기사의 내용을 예보성 정보를 중심으로 분류하고 살펴봄으로서 일반대중이 제공받는 건강관련 정보의 경향을 파악하여 환자 및 일반인에게 유용한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건강 예보제 실시를 위한 현황분석 등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분석대상 기간은 2006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1년간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업무량의 고려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무작위 추출에 의하여 50%를 분석대상 표본으로 하였다. 건강정보의 주제를 보면 일간지에서는 병의 원인 및 위험인자(15.5%), 치료 및 술기, 투약(15.4%), 건강증진(14.6%)순이었고, TV 뉴스는 병의 원인 및 위험인자(27.5%)가 가장 많았고, 역학(24.2%), 행정(11.3%)순이었다.

By observing and classifying the articles that are centering around the forecasting information which are dealing with the health related articles in the mass media such as the daily press, KBS1 9 O'clock news, and TV broadcast station's health serialization program, this research was to fulfill ultimately to present health predicted execution for the data on the present state of analysis for the general public to acquire the health related information and to practice the presented basic data of the useful health information to the patients and general public by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 health related information that is presented to the general public. The period of the subject for analysis conducted in a year, started in January 1st, 2006 and finished in December 31st 2006. The research sampled about 50% of the subject of analysis by using the computer's random sampling in considering the quantity of work. Look in to the subject of health information, the daily news paper illustrated in the order of the cause of diseases and dangerous factor (15.5%), the medical treatment and techniques, the medication(15.4%), and the health promotion(14.6%), and the TV news presented the subject on the cause of diseases and dangerous factor(27.5%) the most, and the least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 mechanics(24.2%), and the administrator(11.3%).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의학회, 국내 공중파 TV를 통한 건강정보의 적절성 평가 연구, 대한의학회 학술대회, 1999.
  2. 이동수 등, 내용분석을 통한 일간 신문 암 관련 기사의 적절성 연구, 가정의학회지, 1996;17(2):159-165
  3. 윤지희, 권순만, 일간신문의 병원과 관련된 기사 분석, 병원경영학회지, 1999;4(2):60-84.
  4. Klaidman J, The effect of mass communication. Free press, 1960.
  5. 고일선 등, 영상매체의 고혈압관련 기사 내용 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4;18(1):90-102.
  6. 김신정 등, TV 뉴스에 보도된 건강관련 정보의 건강성과 해독성.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1;12(2):513-531
  7. 오진주, 최근 3년간 주요 일간지의 보건의료관계 사설 내용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1;5(1):23-34.
  8. 김병익, 주요일간지의 보건의료관계사걸 내용분석, 예방의학지, 1980;13(1):5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