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nt Status and Comparative Study on the Geological Natural Monu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s

남·북한 지질분야 천연기념물의 현황과 비교

  • 김동희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연구실)
  • Received : 2008.12.01
  • Accepted : 2009.03.20
  • Published : 2009.05.29

Abstract

Abstract This research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geological natural monu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s. The classification system on natural monument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similar, but North Korea's designations are relatively well-balanced. The geology field of South Korea was composed of rocks, caves, fossils and general geology, whereas that of North Korea was subdivided into rocks, fossils, strata, mineral springs, hot springs, geography, waterfalls, lakes, caves and pools. Unlike South Korea, North Korea designates and preserves geological structures such as fold and fault, and representative outcrops of mine. It is suggested that South Korea has to establish natural monument management policies for preserving geological structures and outstanding outcrops of mine. The 47-year period of preserving natural monuments in South Korea was divided into the stages I (1962~1980), II (1981~1995) and III (1996~2008). The designated numbers of geological natural monuments in the stage I, II and III average 1.1, 0.1 and 2.6, respectively. The number of geological natural monuments in South Korea is highest in Jeju province, whereas that in North Korea is highest in Gangwon province. This implies that natural monuments have been well protected especially in the locality of slow urbanization.

남 북한 천연기념물에 대해 조사 및 보고된 문헌을 토대로 지질분야 천연기념물 현황을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된 항목들은 남한은 암석, 천연동굴, 화석, 일반지질의 4가지 그리고 북한은 암석, 화석, 지층, 약수, 온천, 지형, 폭포, 호수, 천연동굴, 담소의 10가지이다. 남한에서는 북한과는 달리 지질분야 천연기념물이 상대적으로 적게 지정 보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서는 남한과는 다르게 지층의 구조(습곡, 단층) 및 산업자원을 채굴하는 광산의 대표적인 노두를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데, 이 유형들은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지구조운동의 방향과 크기, 시기 및 형성요인 등을 밝혀주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남한에서 지질분야 천연기념물 지정건수의 연도별 변화를 보면 크게 3시기로 구분되며, 각 시기의 평균지정건수는 1.1건, 0.1건, 2.6건으로 변하였다. 지질분야 천연기념물 지정건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남한은 제주도로 그리고 북한은 강원도로 나타났으며, 산업화와 도시화가 상대적으로 덜 발달된 지역의 천연기념물이 더 잘 보존된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