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Utilization Plan of 'Old Stone Wall' Registered as a Cultural Property Focused on an Old Stone Wall in Sang-Hak Village

'옛담장' 등록문화재의 활용 방안 연구 정읍 상학마을 '다무락'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09.10.29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Recently old stone walls were designated 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at meant an extension of categories about cultural properties from a spot area to whole area. Moreover given the changing situation of residential pattern, which is due to rapid social change, this designation can be seen as a significant measure to keep as intact as possible traditional landscapes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symbol system and meaning of old stone walls and attempt to pick out the cultural elements which are related to them. These days we have made efforts to various aspects for which mak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to cultural contents. But many studies had done before emphasized aspects for beauty only. Especially existing studies about an old stone wall was mainly focused on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and tourist route. So we need to build a plot around oral research and need a creative approach for sharing with tourists. Cultural contents combine the original form, potential and capabilities with media by detecting original form of culture and finding out the worth and meaning. In this paper examined the probability of using by investigating a stone wall in Sang-hak Village that is related with recovering of places to live in contemporary society and finding cultural contents. I suggest more creative ways to make cultural properties into tourist resources by considering the possibilities of place marketing using storytelling, based on an analysis of data gathered.

최근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옛 담장의 사례는 기존의 '점' 단위의 개별 건축물에서 '면' 단위의 마을까지 문화재의 범주를 확대시켰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급속한 사회변동에 따라 주거양식이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농 어촌의 전통적 경관의 훼손과 멸실을 방지하고자 추진된 의미 있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옛 담장이 갖고 있는 문화적 요소를 도출하고 구술조사를 통하여 그 의미와 상징체계를 분석하였다. 전통문화의 문화적 자원을 문화콘텐츠화 하려는 노력이 요즘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너무 미학적인 측면만 강조하거나 건축적인 해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본고의 연구대상인 옛 담장의 경우는 단순히 관광코스로 소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구술조사를 토대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관광객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창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란 문화의 원형과 문화적 요소를 발굴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어 그것의 원형성, 잠재성, 활용성 등을 매체에 결합하는 새로운 문화의 창조 과정이다. 본고에서는 근현대 생활문화 공간복원과 문화콘텐츠의 발굴과 관련하여 상학리 돌담장을 조사하여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고찰하여 보다 독창적인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