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ketch of Trikaya Banner Painting in the Suta-sa Temple

수타사 삼신불괘불도(三身佛掛佛圖) 초본(草本) 연구

  • Received : 2009.10.30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e Trikaya Banner Painting in the Suta-sa Temple at Hongcheon-gun, Gangwon-do draws attention as it was painted not on flax but on paper, and used the water color painting technique on the sketch rather than the deep color painting technique, which is most common in Buddhist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Chosun Dynasty. Nevertheless, there is not any information on the creation of the Trikaya Banner Painting in the painting record on the painting, in Sutasasajeok(壽陀寺史蹟), or in Sutasagogirok(壽陀寺古記錄), so it is uncertain when the painting was created. Furthermore, because it was not drawn by the deep color painting technique, it has been difficult to compare it with other banner paintings. For these reasons, the Trikaya Banner Painting has been studied little except brief introduction. In recent preservation treatment that removed multiple-layered paper from the back of the painting, however, an inked inscription written on Korean paper 118cm high and 87.5cm wide was discovered on the back. It is a kind of placard notifying a number of acts prohibited in order to follow Buddha's teachings correctly, and was found to have been written on April 15, 1690. The inked inscription is a very valuable material for estimating the creation date of the Suta-sa Trikaya Banner Painting, and provides crucial clues for approaching the contents and nature of the painting more precisely. When the image, form, and style of the Suta-sa Trikaya Banner Painting were examined and its creation date was estimated based on the inked inscription, first, the painting is presumed to have been created in around 1690 as suggested by 'the placard' attached on the back instead of a painting record. Second, the painting is highly likely to be the first standing Trikaya banner painting showing the basic icons of Trikaya banner paintings in the Chosun Dynasty since the Trikaya Banner Painting in the Gap-sa Temple in Gongju (1650). Furthermore,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Trikaya in the painting, screen composition, background treatment, solemn and affectionate facial expression, harmonious and adequate body proportion, etc., the painting is believed to have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not only on Trikaya banner paintings of similar style in the 18thcentury but also on deep-color Trikaya banner paintings in the 19thcentury. Third, although the Suta-sa Trikaya Banner Painting is not acompleted work but a sketch, it exhibits the typical water color painting technique in which the strokes are clearly visible. Thus, it is considered highly valuable in understanding and analyzing stroke styles and in studying the history of Buddhist paintings. As there are not many extant banner paintings of the same style in form and expression technique as the Suta-sa Temple Trikaya Banner Painting, this study could not make tho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ork, but still it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ground for research on standing Trikaya banner paintings in the 18thand 19thcenturies in the Chosun Dynasty.

강원도 홍천군 수타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삼신불괘불도는 베 바탕이 아닌 종이 바탕인데다, 채색방법 또한 조선시대 불화의 가장 일반적인 진채화법(眞彩畵法)의 그림들과는 다르게 밑그림본인 초본(草本) 형식에 담채기법(淡彩技法)을 사용하고 있어 주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 자체의 화기(畵記)라든가 "수타사사적(壽墮寺史蹟)" 또는 "수타사고기록(壽墮寺古記錄)"등 어느 곳에도 이 삼신불괘불도 조성에 대한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 조성시기가 불명확하였을 뿐만 아니라, 진채화법의 그림이 아니라서 다른 괘불도들과의 본격적인 양식 비교 역시 원활하지 못하여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소개 정도에 그쳤었다. 그러나 최근 보존처리 시 그림 뒷면의 배접지를 제거하는 과정 중에 크기가 세로 118cm 가로 87.5cm인 별도의 한지에 써서 붙인 묵서명(墨書銘)이 발견되었다. 내용은 부처님 법을 올바르게 따르기 위하여 지켜야 할 몇 가지 금지 행위를 알리는 일종의 '방(榜)'으로서 1690년 4월 15일에 썼음이 밝혀졌다. 이 묵서명은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의 조성년대를 추정케 해주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자, 그림의 정확한 내용 분석 및 성격 파악 등 구체적인 접근을 위해서도 필요한 중요한 단서이다.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의 현상과 형식 및 양식적 특징을 고찰한 다음 이 묵서명을 바탕으로 괘불도의 조성시기를 추정해 본 결과 첫째,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화기 대신 뒷면에 첩부되었던 '방'으로 미루어 보아 1690년경을 즈음하여 조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둘째, 조선시대 삼신불괘불도 중 공주 갑사 삼신불괘불도(1650년) 이후 가장 기본적인 도상을 보여 주는 최초의 입불형식(立佛形式) 삼신불괘불도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3불(佛)의 형태라든가 화면 구성력과 배경처리, 근엄한 듯 자애로운 얼굴표정 묘사, 조화롭고 적당한 신체 비례 등에 있어 유사한 형식의 18세기 삼신불괘불도는 물론, 19세기 삼신불괘불도에 이르기까지 진채화법 괘불도들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비록 완성본이 아닌 밑그림(초본(草本)) 형태이기는 하지만 필선(筆線)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전형적인 담채기법을 보여주고 있어 필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자료적 가치 및 불교회화사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비록 형식 및 표현기법 상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와 동일한 유형의 괘불도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서 충분한 비교 고찰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조선시대 18-9세기 입불형식 삼신불괘불도 연구에 밑받침을 이루고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