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of Websites Contents in Medical Libraries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 노동조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김정아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의학정보실)
  • Received : 2010.08.10
  • Accepted : 2010.09.25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websites operation among libraries affiliated to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compares and analyzes website menu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contents of 29 medical libraries that currently run websites.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main menu of medical library websites is arranged with 'Search for Library Materials, Electronic Resources, Library Service, My Library, Library Guide, and the Bulletin Board.' 2) 15 services were selected as the main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from the medical library website. 3) the information service that was provided from the most institutions was 'Document Copy/ Interlibrary Loan,' followed by 'Loan Reservation/Renewal, Request Library Purchase Book, Off-campus Access, User Education, Reference Resources, Q&A Board, Our Library Pubmed, and Dissertation Submission' in this order.

본 연구는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소속의 대학 및 병원도서관을 대상으로 웹사이트 구축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가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29개 의과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메뉴구성과 콘텐츠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의 메인메뉴는 소장자료검색, 전자정보원, 도서관서비스, My Library, 도서관안내, 게시판의 6개로 정리된다. 둘째,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주요 정보서비스는 '자관 Pubmed, 원문복사/상호대차, 정보검색, 이용교육, 논문작성지원, SDI서비스, 모바일서비스, 학위논문제출, 참고정보원, 교외접속, 주제별서비스, 인용정보분석, 대출예약/연기, 희망도서신청, Q&A게시판'의 15가지이다. 셋째, 가장 많은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서비스는 원문복사/상호대차이며, 다음은 '대출예약/연기, 희망도서신청, 교외접속, 이용교육, 참고정보원, Q&A게시판, 자관 Pubmed, 학위논문제출' 등의 순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 이용미. 2007. 법학도서관 웹사이트 내비게이션 비교 분석. 정보관리연구, 38(3): 59-80.
  2. 남영준, 장로사. 2010. 법학전문도서관 웹사이트의 콘텐츠분석. 정보관리연구, 41(1): 69-95.
  3. 박정희. 2009. 전자정보의 출현으로 인한 의학사서의 역할과 의학도서관 서비스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의학정보관리, 36(1-2): 15-23.
  4. 윤영대. 2002. 의학정보의 현재와 전망. 한국의학도서관, 29(1-2): 1-2.
  5. 장로사, 김성희. 2006.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 콘텐츠 비교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4): 463-482.
  6. 조규용. 2007. 변화를 통해서 본 의학도서관의 미래: 의학사서의 역할 변화. 도서관문화, 48(5): 46-51.
  7. 조찬식. 2001.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웹페이지 콘텐츠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2(2): 105-124.
  8. 조찬식, 한혜영. 2005a. 서울시 의학도서관의 웹페이지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1): 133-151.
  9. 조찬식, 한혜영. 2005b. 웹페이지를 통한 의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실태조사. 정보관리학회지, 22(2): 87-101.
  10. Brower, Stewart M. 2004. Academic health sciences library Website navigation: an analysis of fortyone Web-sites and their navigation tools. J Med Libr Assoc, 92(4): 412-420.
  11. Haines, Laura L. 2010.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basic science researchers: implications for library services. J Med Libr Assoc, 98(1): 73-81. https://doi.org/10.3163/1536-5050.98.1.019

Cited by

  1. 디브러리 포털서비스 콘텐츠 분석 vol.28, pp.3, 2010,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275
  2. 만화콘텐츠 웹사이트의 콘텐츠 구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일 만화박물관 사이트 비교분석 vol.34, pp.None, 2010, https://doi.org/10.7230/koscas.2014.34.263
  3. 공공도서관과 의학도서관의 건강정보서비스 제공현황 비교 연구 vol.45, pp.2, 2010, https://doi.org/10.16981/kliss.45.2.201406.339
  4. 의학도서관 사서의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vol.46, pp.2, 2010, https://doi.org/10.16981/kliss.46.201506.227
  5. 결혼이주여성 대상 건강정보 웹사이트 분석 vol.50, pp.4, 2010, https://doi.org/10.4275/kslis.2016.50.4.077
  6. 문화유산 콘텐츠 온라인 서비스에 관한 연구 vol.19, pp.1, 2010,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1.195
  7. 미술관 웹 사이트의 구조 및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vol.54, pp.1, 2010, https://doi.org/10.4275/kslis.2020.54.1.277
  8. 국내 의학도서관 사서의 코로나19 상황 인식이 정보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ol.55, pp.3, 2010, https://doi.org/10.4275/kslis.2021.55.3.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