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Short Message Service Informing Patients' Operation Status on the Family Members' Nursing Satisfaction

SMS를 활용한 수술진행 정보제공이 간호요구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0.05.31
  • Accepted : 2010.06.21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MS(Short Message Service) informing patients' surgical operation status to his or her family members on their nursing satisfac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the family members of patients underwent spine surgery operation at a general hospital in B city. Twenty fiv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MS services whereas the other twenty fiv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tervent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nursing satisf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t=7.14, p=.001). Conclusion: The result above indicates that the level of nursing satisfaction of family members of the patients under surgical operation can be raised by providing SMS informing surgical operational status during the operation. This finding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such information service can be used as one of the efficient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atient and family satisfactions with nursing care in a surgical unit.

Keywords

References

  1. 김귀현(2006). 정보제공이 중환자실 퇴실 환자가족의 불안 및 역할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뇌졸증 환자가족을 대상으로-.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2. 김미예(2006). 정보제공이 응급실 내원 아동 어머니의 기분상태와 지지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 나윤경(2008). SMS를 이용한 수술환자 진행정보제공이 환자가족의 간호요구만족도와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4. 박운제(2002). 의료의 질 향상 지침서. 서울: 고려의학.
  5. 박정은(2002). 개복수술을 받는 암환자 가족을 위한 수술대기실에서의 정보제공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6. 박재산, 우영국(2001). SERVQUAL 척도를 활용한 입원환자 서비스의 질 구성차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논총, 11(1), 129-138.
  7. 박재성(1995). 외래환자의 환자만족도 측정도구의 개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8. 유양숙, 조옥희, 박숙경, 정혜선, 김석일(2005). 단문 메세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웹기반 고혈압 환자 관리 시스템 개발 및 효과: 예비연구. 임상간호연구, 11(1), 57-70.
  9. 이정일(2009. 1. 2). 우리나라도 '1인 2 휴대폰' 시대 개막? 아시아 경제신문, 2009. 6. 27,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10207554653133&nvr=에서 인출
  10. 이미향(2006). 아로마 요법이 중환자실에 입원한 심장 스텐트삽관 환자의 안위, 불안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11. 이선희, 최귀선, 강혜영, 조우현, 채유미(2001). 국내 의료기관의 질 향상 사업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조직동인적 관점에서-. 예방의학회지, 34(4), 363-371.
  12. 이연희(2003). 수술환자 가족의 수술에 대한 불안과 간호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3. 임정순(2006). 수술진행 정보제공 방법에 따른 암수술 환자가족의 간호요구 만족도와 상태불안.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14. 정기자(2002). 도.농 복합도시 대학병원의 환자만족도 조사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천안.
  15. 정유진(2005). 수술 전 간호 정보 제공이 개심술 환자의 수술 후 불안수준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6. 조우현, 이선희, 이해종, 전기홍(1999). 의료서비스 마케팅. 서울: 퇴설당.
  17. 최귀선, 조우현, 이선희, 남정모(2000), 환자가 인지하는 의료의 질과 만족도, 서비스 가치, 재이용 의사간의 구조분석. 예방의학회지, 33(4), 426-435.
  18. 최용백(2005). E-mail을 이용한 미숙아 정보제공이 부모의 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 홍희정(2004). 수술대기실 환자현황판을 이용한 수술진행 정보 제공이 환아어머니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 Anhoj, J., & Moldrup, C. (2004). Feasibility of collecting diary data from asthma patients through mobile phones and SMS(short message service): Response rate analysis and focus group evaluation from a pilot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6(4), e42. https://doi.org/10.2196/jmir.6.4.e42
  21. Arthur, H. M., Daniels, C., McKelvie, R., Hirsh, J., & Rush, B. (2000). Effect of preoperative intervention o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utcomes in low-risk patients awaiting elec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3(4), 253-262.
  22. Carmody, S., Hickey, P., & Bookbinder, M. (1991). Perioperative needs of families. Results of a survey AORN Journal, 54(3), 561-567.
  2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Donnell, S. G. (1989). Coping during the wait: Surgical nurse liaison program aids families. AORN Journal, 50(5), 1088, 1090-1092.
  25. Leske, J. S. (1996). Intraoperative progress reports decrease family members' anxiety. AORN Journal, 64(3), 424-436. https://doi.org/10.1016/S0001-2092(06)63055-X
  26. MacDonald, K., Latimer, M., & Drisdelle, N. (2006). Determining the impact of a surgical liaison nurse role in the paediatric operating room. Canadian Operating Room Nursing Journal, 24(1), 35-36.
  27. Molter, N. C. (1979) Needs of relativ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A descriptive study. Heart & Lung, 8(2), 332-339.
  28. Paavilainen, E., Seppanen, S., & Astedt-Kurki, P. (2001). Family involvement in perioperative nursing of adult patients undergoing emergency surger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0(2), 230-237. https://doi.org/10.1046/j.1365-2702.2001.00477.x
  29. Travelbee, J. (1963). What do we mean by rapport?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63, 7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