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on the Breastfeeding Prevalence

퇴원 후 전화 상담을 통한 지속적인 모유수유 지지가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 Jang, Gun Ja (Department of Nursing, Daegu University) ;
  • Kim, Sun Hee (Delivery ro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Received : 2010.01.30
  • Accepted : 2010.06.21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on breastfeeding rat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3 mothers who admitted to the delivery room of a university hospital which was selected as a 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 (BFHI) in Daegu.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17, 2008 to September 20, 2009. Twenty three mothe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mothers, to the control group. During hospitalization, breastfeeding education was given to the both groups. But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by nurse's phone call to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once a week for 4 weeks postpartum. Data regarding breastfeeding rates at postpartum 1, 2, 3, 4 weeks and 3 months were collected by phone call. Results: The breastfeeding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postpartum week 2, 3, 4 and 3 months. Conclusion: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may be a useful intervention to increase breastfeeding rate and the first month is the most important time to establish breastfeeding.

Keywords

References

  1. 김선희(2009). 모유수유 적응 측정 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9(2), 259-269. https://doi.org/10.4040/jkan.2009.39.2.259
  2. 김선희(2010).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40(2), 225-235.
  3. 김정윤, 황승재, 박현경, 이하백, 김남수(2008). 대한소아과학회 홈페이지의 모유수유 상담내용 분석.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1(11), 1152-1157. https://doi.org/10.3345/kjp.2008.51.11.1152
  4. 김혜숙(1995). 모유수유 전화 상담 내용의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25(1), 17-29.
  5. 박숙희(2001). 모유수유교육과 추후간호방법이 산모의 모유수유 실천율과 모유수유방법에 미치는 효과-가정방문과 전화상담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6. 박영란(2005). 모유수유 지지교육이 모유수유 지식, 지속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천.
  7. 박은영, 조수진, 이근(2005). 모유수유에 대한 산모의 의식과 실천 현황.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8(11), 1162-1165.
  8.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6, 7).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영양조사 (I)-. (정책-식품-2006-53) 서울:저자.
  9. 서인숙, 정문숙, 서영숙(2000). 모유수유 권장교육이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6(4), 632-642.
  10. 성미혜, 김두현(2003). 모유수유 교육과 지속적인 전화상담이 산모의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지, 7(2), 167-178.
  11. 손인아(2007). 모유수유 지식, 태도 및 실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2. 신영희(2000). 모유의 영양 및 면역학적 고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3(2), 94-107.
  13. 여정희(2005). 모유수유 기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1(2), 142-147.
  14. 유은광, 김명희, 서원심(2002). 모유수유 교육과 분만 후 지속적인 전화상담에 따른 모유수유 실천율 조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3), 424-434.
  15. 이중정(2004). 모유수유와 유아의 신경, 정신사회적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대한보건연구, 30(1), 45-56.
  16. 장군자, 김선희, 정경순(2008). 간호사의 모유 수유 지지가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8(1). 172-179.
  17. 전영화(2004). 수유방법과 영아의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8. 정금희(1997). 모유수유증진 간호중재프로그램이 초산모의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9. 조현자(2007). 모유수유증진 중재 프로그램이 초산모의 모유수유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수원.
  20.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 Jacknowitz, A. (2007). Increasing breastfeeding rates: Do changing demographics explain them? Women's Health Issues, 17(2), 84-92. https://doi.org/10.1016/j.whi.2007.02.010
  22. Kramer, M. S., & Kakuma, R. (2001). The optimal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A systematic review. Gen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3.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Breastfeeding: HHS blueprint for action on breastfeeding. Washington DC: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