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비만유아의 체성분과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Basic Motor Skills in Obese Children

  • Kim, Won-Jun (Korea Child Physical Education Research Center) ;
  • Na, Seung-Hee (Department of Leisure sports,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Science&Technology)
  • 투고 : 2010.10.20
  • 심사 : 2010.11.19
  • 발행 : 2010.11.30

초록

본 연구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비만 유아의 체성분의 변화와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 비만 판정에 쓰이는 카우프지수(Kaup Index)가 20이상인 유아 비만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주 3회식 12주간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프로 그램이 비만유아들의 체성분의 하위변인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제지방량, 체수분량 등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향상되었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비만유아들의 기본운동능력 중 이동운동과 조작운동 등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향상되었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비만유아들의 체성분의 변화와 기본운동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obese young children's body composition and basic motor skills.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with 16 participants whose Kaup Index were higher than 20 were divided into 2 groups(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12 weeks three times a week.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was found to improve sub-factors of body composition(weight, body fat mass, % body fat, lean body mass and total body w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Second,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was found to improve locomotor and manipulation skills of basic motor ski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s in obese young children's body composition and basic motor skill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범, "Training 및 Detraining이 비만아동의 신체구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997.
  2.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교육과정해설(1)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8.
  3. 정인태, "유아체육교육", 서울: 양서원, 2000.
  4. 이순례, "유아와 함께 하는 신체활동", 한국어린이육영회 연수원, 1998.
  5. 한국교육개발원, "유아체육 놀이 프로그램 개발연구", 1997.
  6. 김재규, "유치원 및 유아체능단 유아의 체격과 체력 비교",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7. 박귀수,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비만유아들의 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8. 정명곤, "유산소성 운동이 비만아동의 혈액성분과 신체 조성 및 활동량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9. 신인순, 이정호, 임웅, "알기 쉬운 유아체육프로그램", 서울: 홍경출판사, 2004.
  10. 이경희, "줄넘기와 스위스 볼 운동이 유아의 신체조성, 성장관련 인자 및 골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11. 이창영, "줄넘기 트레이닝이 비만초등학생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9, 471-480, 2007.
  12. 유활란, "아동기의 비만 원인이 비만정도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13. 허원진, "유아체육프로그램이 비만 아동의 비만도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14. 주간한국, "다이어트스쿨" 소아비만. 10월, 2002.
  15. 조근종, "체육측정평가", 서울: 대한미디어, 1995.
  16. 강윤주, 홍장호, 홍영진, "서울시내 초, 중, 고등학생들 의 최근 18년간 비만도변화 추이 및 비만아 증가 양상", 한국영향학회, 30(7), 832-839, 1997.
  17. 이혜영, "유아기의 체력과 체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18. 임성혜, "유아를 위한 통합적 대상 통제운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19. 윤은영, "유아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20. 윤애희, 박정민, "유아 체육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1999.
  21. 김성재, "발달적 게임과 교육체조를 통합한 유아 동작 활동의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22. 이은희, "움직임 개념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 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23. 이영자, 이기숙, 이정욱, "유아 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2004.
  24. 하정한, "음악 줄넘기에 운동 빈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체력 및 신체 조성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25. Roemmich, J. N., Clark, P. A., Weltman, A, & Rogol, A. D. "Alterations i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during puberty. I. Comparing Multicompartment body composition model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3(3), 927-935, 1997. https://doi.org/10.1152/jappl.1997.83.3.927
  26. Pica, R., "Physical fitness and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Young Children, 61(3), pp. 12-19, 2006.
  27. Ulrich, D. A.,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Examiner's Manual". Austin, TX: Pro-Ed, 2002.
  28. Kopelman, P. 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pp. 635-643, 2000. https://doi.org/10.1038/35007508
  29. Urich, D. A.,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Examiner's Manual(2nd ed.)", Austin, Tx: Pro-Ed, 2000.
  30. Matronia, C. A., "Relationship of direct instruction and practice development of motor skills". ERIC Document No. ED. 239774, 1982.
  31. Wessel, J. A., & Kelly, L. E., "Achievement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physical education", Philadelphia, PA: Lea & Febiger, 1986.
  32. Smith, M., Carlisle, C., Cole, S. K., & Steffen, J., Teaching fundamental motor skills in the primary school: An examin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 Review, 14(2), pp. 52-56, 1991.
  33. Hatzitaki, V., Zisi, V., Kollias, I., & Kioumourtzoglou, E., "Perceptual-motor contributions to static and dynamic balance control in children". Journal of Motor Behavior, 34(2), pp. 161-170, 2002. https://doi.org/10.1080/00222890209601938
  34. Bobbio, T., Gabbard, C., & Caçola, P., "Interlimb coordination: An important facet of gross-motor ability". Retrieved on Dec. 17, 2009 from http://ecrp.uiuc.edu/v11n2/bobbio.html.
  35. Wiart, L., & Darrah, J., "Review of four Tests of Gross Motor Development".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3, pp. 279-285, 2001. https://doi.org/10.1017/S0012162201000536
  36. Baechle, T. R., & Earle, R. W., "Essentials of strength training and conditioning". Human Kinetics Publisher, pp. 170-17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