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요실금 자각 증상이 있는 중년여성들의 통증 및 삶의 질 정도에 대한 조사

A Survey of the Pain and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Women with the Subjective Symptom of Urinary Incontinence

  • 김은영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김근조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하미숙 (마산대학 물리치료과)
  • 투고 : 2010.08.23
  • 심사 : 2010.11.19
  • 발행 : 2010.11.30

초록

본 조사는 요실금 자각 증상이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요실금의 주관적 정도와 통증이 그에 따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 2월부터 5월까지 병원을 외래로 방문한 만성 근골격계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요실금 자각 증상이 있는 114명에게 요실금 관련 삶의 질 도구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삶의 질은 보통($61.36{\pm}13.2$점)이라고 느꼈으며, 요실금과 관련한 통증은 허리통증으로 나타났다. 통증정도는 VAS 4~7의 중간통증으로 나타났으며, 요실금으로 인해 삶의 질 요인 중 행위의 회피 제한과 심리사회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로 인해 중년여성의 요실금과 통증이 삶의 질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침으로 나타나 실질적인 중재 개발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urve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subjective degree and pain of urinary incontin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women with the subjective symptom of urinary incontinence. A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in relation to urinary incontinence for 114 patients of chronic musculoskeletal system from Feb. to May in 2010. Overall,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ir quality of life was medium(($61.36{\pm}13.2$score) and the pain related to urinary incontinence was low back pain. The degree of pain was between the moderate and a little severe in the VAS (Visual Analogue Scale) range of 4 to 7. It was also shown that the action of the subjects was affected by urinary incontinence in forms of avoidance limitation and psycosocial effect. Since the survey showed that the urinary incontinence and pain substantial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women, the result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developing a practical intervention pro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양순, "요실금 여성을 위한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 요실금 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남부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 김경원,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단전호흡 모형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 이명숙, "일 지역 중년여성의 건강행위 이행과 관련요인에 관한 조사", 성인간호학회 논문지, 12권 4호, pp. 584-594, 2000.
  4. ACOG technical Bulletin, "Urinary Incontin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52, pp. 75-86, 1996. https://doi.org/10.1016/S0020-7292(96)90007-7
  5. MacDonald, C. D., & Butler, L., "Elderly women's stories of living with urinary incontinence in long-term car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pp. 14-20, January, 2007.
  6. 김혜영, "노인의 요실금과 삶의 질"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7. Maggi, "Prevalence rate of urinary incontine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als", the veneto study, The Journal of Gerontology, 56(1), pp. 14-18, 2001.
  8. Fizgerald, "Urinary incontinence. Impact on working women" AAOHN J. 48(3), 112-118, Mar, 2000.
  9. Ferrans, C. E., & Powes, M. J.,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4, PP. 179-186, 1992.
  10. 오현자,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성인간호학회지, 12권 3호, pp. 431-451, 2000.
  11. 김희진, 이홍수, 이상화, 심경원, 서희선, 공경애, 이해 정, "성인여성의 요실금과 삶의 질" 가정의학회지, 10권 1호, pp. 98-106, 2003.
  12. 허경옥, "요실금이 있는 성인여성의 삶의 질 조사", 한양대학교 간호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3. 김동배, 손의성, "한국 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25권 4호, pp. 167-187, 2005.
  14. 김혜정, "요실금 여성의 자아존중감,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조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5. Heidrich, S. M., & Wells, T. J., "Effects of urinary incontin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in older community-dwelling wome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0(5), pp. 47-54, 2004.
  16. Lekan-Rutledge, D., "Urinary incontinence strategies for frail elderly women", Urologic Nursing, 24, pp. 281-301, 2004.
  17. Temml C, Haidinger G, Schmidbauer J, Schatzl G, Madersbacher S., "Urinary incontinence in both sex prevalence rate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and sexual life" Neurology and Urodynamics, (19), pp. 259-271, 2000.
  18. 김명아, 김현수, 김은정, "서울 일지역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노인간호학회지, 17권 2호, pp. 176-184, 2005.
  19. 이명자, "노인여성의 요실금 및 수면장애와 삶의 질에 관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20. Anger, J. T., Saigal, C. S., Litwin, M. S., & Urologic Diseases of America Project,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community dwelling adult women" Journal of Urology, 175, pp. 601-604, 2006. https://doi.org/10.1016/S0022-5347(05)00242-9
  21. 전명재, 배상욱, 김세광, "여성 배뇨장애 치료의 최신 지견",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1권 3호, pp. 275-285, 2008.
  22. 강순희, 구희서, 김호봉, 박흥기, 안소윤, 유병규, 윤범철, 이완희, 임인혁, 장정훈, 정진우, 최병옥, 최재청, 역. "골반의 검진과 치료", 대학서림, pp. 150-151, 2007.
  23. Swithinbank, L. V., Abrams, P., "The impact of urinary incontinence on the quality of life women", World J Urol, 17, pp. 225-229, 1999. https://doi.org/10.1007/s003450050137
  24. 박성철, 고민환, 이태영, 윤현숙, "대구지역 성인 여성의 요실금 유병률에 관한 조사", 영남의대학술지, 21권 1호, pp. 60-66, 2004.
  25. Wagner, T. H., Patrick, D. L., Bavendam, T. G., Martin, M. L., Buesching, D. P., "Quality of life of persons with urinary incontinence: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Urology, 47, pp. 67-71, 1996. https://doi.org/10.1016/S0090-4295(99)80384-7
  26. 오승준, 박형근, 임승화, 홍성규, 김수웅, 김현회, 백재승, "요실금 자가기입설문지 한국어판 Incontinence Quality of Life(I-QoL)의 언어 타당도" 대한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지, 6권 2호, pp. 10-23, 2002.
  27. 김건희, 박효정, 김려화, 강윤희, 신경림, "일 도시 지역 노인여성의 요실금, 우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노인학, 27권 4호,pp. 943-962, 2007.
  28. Melzack, R. "The McGill pain questionnaire: Major properties and scoring methods. Pain, 1, pp 277-299, 1975. https://doi.org/10.1016/0304-3959(75)90044-5
  29. 송효정, 이동환, 이지열, 김명자, "30세 이후 한국 여성의 요실금 실태에 대한 역학조사", 대한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지, 5권 1호, pp. 24-38, 2001.
  30. Burgio, K. L., Matthews, K. A., Engel, B. T., "Prevalence, incidence and correlates of urinary incontinence in healthy, middle-aged women" J Uro, 146(5), pp. 1255-1259, 1991. https://doi.org/10.1016/S0022-5347(17)38063-1
  31. 김계현, 홍재엽, "여성 요실금의 유병률에 대한 기초조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36권 1호, pp. 1001-1007, 1993.
  32. Sandvik, H., Hunskaar, S., Seim, A., Bratt, H., "Validation of a severity index in female urinary incontinence and its implementation in an epidemiological survey", J Epideminol Community Health, 47권, pp. 497-499, 1993. https://doi.org/10.1136/jech.47.6.497
  33. Hulens, G. Vansant, A. L. Claessens, R. Lysens, E. Muls., "Predictor of 6-minute walk test results in lean, obese and morbidly obese women", Scand J Med Sci Sports, 13. pp. 98-105, 2003. https://doi.org/10.1034/j.1600-0838.2003.10273.x
  34. Barber, M. D., Visco, A. G., Wyman, J. F., Fantl, A., Bump, R. C.,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and pelvic organ prolapse", Obstet Gynecol, 99, pp. 281-289, 2002. https://doi.org/10.1016/S0029-7844(01)01727-6
  35. Rortveit, G., Hannestad, Y. S., Daltveit, A. K., & Hunskaar, S., "Age-and type-dependent effects of parity on urinary incontinence", Obstet Gynecol, 98, pp. 1004-1010, 2001. https://doi.org/10.1016/S0029-7844(01)01566-6
  36. Sommer, P., Bauer, T., Nielsen, K. K., Kristensen, G. G., Hermann, K. S., and Nordling, J. , "Voiding patterns and prevalence of incontinence in women. A questionnaire survey", Br J Urol, 66, pp. 12-15, 1990. https://doi.org/10.1111/j.1464-410X.1990.tb14855.x
  37. 문영주, 임희순, 정재은, 조현희, 김미란, 유영옥, 김은 중, 김장흡, 김진홍, "자연 분만력의 횟수가 하부 비뇨 생식기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부인과학회지, 50 권 4호, pp. 638-644, 2007.
  38. Eliasson, K.,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with low back pain" Man Ther, pp. 28-32, 2007.
  39. 이영희, 김선아, "요실금 환자의 골반근육운동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배뇨증상에 관한 조사", 기본간호학회지, 9권 3호, pp. 360-369, 2002.
  40. 김현숙, "여성의 요실금이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44권 3호, pp. 573-577, 2001.
  41. 김희진, 이홍수, 이상화, 심경원, 서희선, 공경애, 이해정, "성인여성의 요실금과 삶의 질", 가정의학회지, 24 권, pp. 709-714, 2003.
  42. 신경림, 박선영, "도서지역 여성의 요실금 및 하부요로 증상에 관한 조사", 성인간호학회지, 13권 2호, pp. 305-316, 2001.
  43. 이명희, 신경림, "도서지역여성의 요실금체험", 대한간호학회지, 30권 3호, pp. 799-812, 2001.
  44. 정규병, "여성 요실금에 관한 이해", 가정의학회지, 18권4호, pp. 366-376, 1997
  45. 김증임, 김영호, 안현철, "성인 여성의 과민성방광 증후군과 요실금의 실태조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권4 호, pp. 529-537, 2002.

피인용 문헌

  1. Effect of Moxibustion at Junggeuk(CV3), Singwol(CV8) on Women's Urinary Incontinence and Quality of Life vol.30, pp.3, 2013, https://doi.org/10.14406/acu.2013.30.3.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