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as a Formative Design Education

디자인 조형교육으로서의 건축설계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9.10
  • Accepted : 2010.11.19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fter the potentiality of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as a formative design dealing with the morphologic difference between solid and void, and to present the effective process of design education f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in terms of creative thinking.

본 논문은 대학의 건축설계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디자인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디자인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건축설계 교육모형과 이를 적용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조형교육으로서의 건축설계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모형과 건축설계수업은, 조형 표현력과 조형이론의 학습, 그리고 기본기능의 훈련과 같은 기초디자인 교육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업의 각 과정이 단계별 완성도를 갖고 연속되고, 심층적 발전의 형식을 갖는다는 점에서 건축설계를 위한 기초교육으로서 종합적인 디자인 능력 계발이라는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모형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겸, 박만식, "기초디자인 교육에 대하여", 대한건축학회지 35권 6호, pp.27-29, 1991.
  2. 이성호, "교수방법의 탐구", 양서원, pp.160-163, 2000.
  3. 辻弘, 杉山明博, 김인권 역, "조형형태론", 미진사, pp.236-237, 1991.
  4. 松本憲 외 3인, 김수석 역, "디자인 능력 진단", 지구문화사, p.112,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