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업단지 종말처리장 방류수 유입에 따른 소류지 부영양화 제어 가능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control of the eutrophication by flowing the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s to the lake

  • 이지선 (호서대학교 대학원 BK21 반도체디스플레이공학과) ;
  • 장인성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Lee, Ji-Sun (Dept. of Semiconductor & Display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BK21, Hoseo University) ;
  • Chang, In-S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투고 : 2010.07.21
  • 심사 : 2010.11.19
  • 발행 : 2010.11.30

초록

본 논문은 A 시의 산업단지 종말처리장의 방류수 유입에 따른 K 소류지의 녹조 제어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완전혼합연속반응기로 모형화한 호소를 총인과 엽록소-a의 농도를 예측하였다. 정상상태일 때 총인과 엽록소-a 농도는 각각 $0.29\;/m^3$$4.0\;g/m^3$를 나타났고 실측치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비정상상태에서 종말폐수방류수가 최소유량 또는 최대유량으로 소류지로 유입될 때 시간경과에 따른 총인과 엽록소-a 농도 변화를 예측하였다. 또한, 현재 심각한 부영양화 단계에 있는 소류지를 중영양 또는 빈영양 단계로 전환하기 위해 소류지로 유입되는 총인부하량 ($L_p$)과 호소깊이/체류시간 ($H/{\tau}w$)값의 변화를 통해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제어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기법이 소류지내 총인농도의 제어전략을 수립하기에 적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owing the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s into the K lake which is located in the A city on the eutrophication. The lake was modelled as a continuous stirred-tank reactor. Phosphorus and Chl-a concentration in the lake were calculated to $0.29\;/m^3$$4.0\;g/m^3$ at steady state, respectively. Those simulated concentrations were very close to the monitored mean concentration of the lake, indicating that the simulation could be used a tool for characterizing the lake. The non-steady state concentrations of the phosphorus and Chl-a were proposed as a function of time as well. Phosphorus loading ($L_p$) and depth to retention time ratio ($H/{\tau}w$) was calculated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eutrophication. We proposed a strategy to change the lake from eutrophic to permissible oligotrophic state using a graph consisting of two variables, $L_p$ and $H/{\tau}w$.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백호 "주암호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2. 김범철, 사승환, 김문숙, 이윤경, 김재구 "국내 호수의 제한영양소와 하수처리장 방류수 인 기준 강화의 필요성", 한국물환경학회지, 제23권, 제4호, pp. 512-517, 2007.
  3. 김재윤 "총인부하량을 이용한 인공호의 부영양화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2권, 제7호, pp. 689-695, 2003. https://doi.org/10.5322/JES.2003.12.7.689
  4. 김용재, 권순국 "시화호 인공습지의 식물 플랑크톤과 갈대 부착조류 군집의 동태", 한국환경농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59-67, 2004. https://doi.org/10.5338/KJEA.2004.23.1.059
  5. S.C. Chapra, "Surface water quality modeling", 1997, McGraw Hill.
  6. U.S. E.P.A, (1979), Analysis of the Sources of Phosphorus in the Environment: Final Report, EPA-560/2-79-002
  7. J. L. Schnoor, "Environmental modelling - Fate and transport of pollutants in water, air, and soil", 1996, Wiley Interscience.
  8. G. Tchobanoglous and E. D. Schroeder, "Water Quality - Characteristics, modeling, modification", 1987, Addison Wesley.
  9. 조순행, 구자공, 한상욱, 서용찬, "수질관리", 1998, 동화기술.
  10. 이시진, 윤세의, 박석순, "수질모형과 관리", 1993, 동화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