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도서관 지역사회 개방의 문제와 발전적 원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Principles of the School Library Opening Policy

  • 투고 : 2010.09.16
  • 심사 : 2010.12.10
  • 발행 : 2010.12.30

초록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 정책의 문제점과 한계를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지역사회 개방의 문제와 한계로 지역주민 이용률 저조, 담당 인력의 고충 가중, 학교도서관 인력체제 왜곡, 학교도서관의 기능 확립 저해 등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문제의 이면과 배경에는 지역개방을 위한 기본 조건의 미성숙, 지역 개방에 대한 개념과 인식의 오류, 정책 취지의 오해와 왜곡, 협력에 익숙하지 않은 조직 문화와 관행 등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탐구하였다. 그리고 이런 문제점의 성격과 정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역 개방을 위한 원리로 타당성과 목적성의 원리, 지역공동체 연대 원리, 단계적 접근과 전략적 운영 원리 등을 제안하였고 성공적인 지역개방을 위한 요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inspection of the School Library Opening Policy. Some problems show the policy is not only ineffective but also disadvantage to th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ies. The writer suggested three principles and critical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School Library Opening Policy.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일보. 2010. 방과후 학교도서관에 '무자격 사서.' 4월 28일.
  2. 경남도민일보. 2010. 도내 학교마을 도서관, 사서 없고 이용객도 드문 텅 빈 곳. 1월 4일.
  3. 경북사서교사모임[온라인 커뮤니티]. 2005. '방학개방에 대한 경과 보고' [2010.10.3. 인용].
  4.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계획(시안).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10.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09년도 추진실적.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인적자원부. 2002. 좋은 학교도서관 만들기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반안-. 교육인적자원부.
  7. 국제신문. 2009. 부산發 '학교도서관을 지역문화센터로'… 교과부 전국사업 채택. 9월 28일.
  8. 국제신문. 2008. 학교도서관을 지역문화센터로<1> 구서초․사직초․사직여중. 5월 28일.
  9. 김지봉. 2007. 공공도서관 서비스 포인트 확충을 위한 개방형 학교도서관 운영 방안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교육시설정책전공.
  10. 사서e마을[온라인 커뮤니티]. 2007a. 아- 무개념 엄마들-ㅜㅜ. [2010.10.3. 인용].
  11. 사서e마을[온라인 커뮤니티]. 2007b. 지역개방학교입니다 참고하세요(+한탄글). [2010.10.3.인용].
  12. 사서e마을[온라인 커뮤니티]. 2010. 사서는 퇴근하고 교사들이 돌아가면서 야간 개방하는 학교 있나요?ㅜ.ㅜ [2010.10.3.인용].
  13. 신경수. 2009. 대전광역시 학교도서관 개방 실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인적자원정책전공.
  14. 울산광역시교육청. 2010. 학교도서관 현황 자료. (미간행 문서).
  15. 충북일보. 2009. 괴산 백봉초, '반딧불 야간도서관' 개방 호응. 5월 24일. 학교도서관진흥법. 2008. [법률 제8852호].
  16. 한겨레. 2010. 함께하는 교육 -커버스토리/송악면 사람들, 학교도서관서 소통하다. 3월 22일.
  17.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2009. 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 모순인가? 협력인가? 제46회 전국도서관대회 포럼자료집.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18. 황은혜. 2008. 지역사회 개방을 통한 학교도서관의 역할 강화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19. MBC. 2007. MBC 프라임: 우리 동네에는 도서관이 있다 (방송 프로그램 녹화). MBC.
  20. Bundy, Alan & Amey, Larry. 2006. Libraries Like No Others: Evaluating the Performance and Progress of Joint Use Libraries. Library Trends, 54(4): 501-518. https://doi.org/10.1353/lib.2006.0032
  21. Haycock, Ken. 1990. The School-Housed Public Library. Emergency Librarian, 17(4): 33-34.
  22. IFLA, UNESCO. 1999. IFLA/UNESCO School Library Manifesto: The School Library in Teaching and Learning for All. IFLA/UNESCO. .
  23. Liu, Geoffrey Z. 2008. School Libraries Serving Rural Communities in China: The Evergreen Model. School Libraries Worldwide, 14(1): 1-20.
  24. Matthews, Kaye. 2008.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School and Community Joint Use Libraries in New Zealand. Aplis, 21(1): 13-24.
  25. Olson, Renee. 1996. 2 In 1: Designing a Combined Library That Works for Everybody. School Library Journal, 42(2): 24-28.
  26. Roux, Sophia Le. & Hendrikz, Francois. 2006. Joint Use Libraries: Implementing a Pilot Community/ School Library Project in a Remote Rural Area in South Africa. Library Trends, 54(4): 618-637.

피인용 문헌

  1.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관한 연구 - 서울 강남구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vol.23, pp.1, 2012,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1.277
  2.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vol.23, pp.1, 201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1.317
  3. 일본 학교도서관의 지역개방현황과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vol.23, pp.4, 2012,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327
  4.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역할모델에 관한 연구 vol.47, pp.2, 2010,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