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mplementation of Service Framework for Public Culture Contents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of Spatial Information and Culture Contents

공간정보 및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현

  • Received : 2010.05.20
  • Accepted : 2010.06.2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Globalization, conversions, and OSMU (One Source Multi Use) in modern cultural industry is expanding fast, and global competition is soaring with a changing environment today. In fact, the development of one nation depends on its cultural creativity. Ye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connection between space and culture since globalization homogenizes a nation's unique cultural identity and provides low level of utilization in digital cultural contents in terms of saving, conserving and maintaining data. In order to invigorate the cultural industry, there must be some information that provides public culture contents, which they can be freely searched, displayed, and re-produced. Ultimately, these public culture contents should be able to provide Culture Space. This text discusses how individuals produce the Culture Space, which provides digital information of time and space, from a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space. It also introduces the public Culture Contents service framework in order to provide culture information and combined Culture Contents.

최근 문화산업은 세계화, 컨버전스, OSMU(One Source Multi use)의 확산 등 환경 변화에 따른 글로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감성, 체험 등 문화적 창의성이 국가 발전을 위한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화된 문화콘텐츠는 자료의 축적, 보존, 관리 수준으로서 그 정체성 및 활용성 저하가 심화되고 있어, 문화의 공간화 및 공간의 문화화를 통한 상생 모델화가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산업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창조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는 기반으로 시공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공 문화콘텐츠를 자유롭게 검색하고 원하는 대로 가공 또는 재생산하여 전시, 유통할 수 있는 문화공간(Culture Space)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Culture) 및 공간(Space)의 융합 형태를 통하여 시공간의 디지털 정보를 담고 있는 문화콘텐츠에 개인이 자유롭게 확대 재생산 및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정보와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제, 미디어 컨버전스시대 콘텐츠 진화에 대한 연구,
  2. 최혜실, 방송 통신 융합 시대 문화예술의 진화, 인문콘텐츠학회지, 2007
  3. 공봉석, 정경훈, 유비쿼터스 기반의 문화서비스 추진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7
  4. 김정훈, 21세기 신성장 동력, 문화콘텐츠 정책의 방향, 문화관광부, 2007
  5. 이남희, 문화콘텐츠의 인프라 구축 현황과 활용에 대하여, 2005
  6. 안지형,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중심으로 본 무용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2008
  7. 정용관,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통음악 중심, 숭실대학교, 2008
  8. 방통융합시대 콘텐츠 OSMU 비즈니스 모델분석 및 개발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08
  9. 윤호진, 이동훈, 미디어 융합에 따른 콘텐츠산업 분석 및 공공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2008
  10. 함한희, 박순철, 디지털 아카이브즈의 문제점과 방향 - 문화원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06
  11.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융합과 포털의 차세대 미디어전략 분석,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7
  12. 윤호진, 이동훈, 미디어 융합에 따른 콘텐츠산업 분석 및 공공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2008
  13. 김재하, 웹 2.0 환경의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전망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2007
  14. 손상영, 안일태, 이철남, 방송․통신융합환경에서의 플랫폼 경쟁정책,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15. OZ 내 주위엔? - http://www.lgtelec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