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Studies about Conservativ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in Knee Joint -Focusing on Domestic Theses for Degree and Journal Since 2000-

퇴행성 슬관절염의 보존적 치료의 최신 연구 -2000~2009년 발표된 임상논문을 중심으로-

  • Cho, Sung-Woo (Departmen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ang, Yeon-Kyeong (Departmen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조성우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강연경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Received : 2010.10.25
  • Accepted : 2010.12.03
  • Published : 2010.12.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recent studies about conservativ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in knee joint. We reviewed and analyzed 71 theses published by korean research institution since 2000. These theses were classified by year, field of study and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e found 24 oriental medical theses about osteoarthritis in knee joint since 2000. 2. Classified by the major field of study, the journal of korea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accounted for 17 pieces in oriental medical journals. 3. In oriental medicine, the most subject is acupuncture(19 pieces). 13 pieces in it is about pharmacopuncture. 4. 47 theses are published in medical journals after 2000. 5. 35 associations dealt with this theme,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is major. 6. Most subject is kinesitherapy, followed by pharmacotherapy, massotherapy, taping therapy, physiotherapy and insole. We found several therapies were effective through oriental and western medical theses. Combined oriental medicine and western conservative therapy like kinesitherapy make better effect on osteroarthritis of knee joint.

Keywords

References

  1. 이혜경. 고령화 사회의 삶의 질. 연세사회복지연구, pp 27-58, 2002.
  2.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6판. 서울, 최신의학사, pp 253-255, 714-715, 2005.
  3.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2판. 서울, 군자출판사, p 96, 2005.
  4. 김달호, 이종형. 注解補注황제내경소문. 상권. 서울, 의성당, pp 338-339, 2001.
  5. 김미려, 허수영, 박기현.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동서의학적 비교. 대한동의학술원 논문집, 4(1):711-722, 1999.
  6. 송봉근. 요추추간판탈출증의 보존적 치료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6(2):62-78, 1995.
  7. Martel-Pelletier, J., Pelletier, J.P. Is osteoarthritis a disease involving only cartilage or other articular tissues? Eklem Hastalik Cerrahisi. 21(1):2-14, 2010.
  8.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 3판. 서울, 군자출판사, pp 910-911, 2009.
  9.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 정형물리치료진단학. 서울, 현문사, p 618, 1998.
  10. 서순규. 성인병, 노인병학. 서울, 고려의학, pp 486-488, 1992.
  11. 이윤종. 골관절염의 치료. 한방내과학회지 67(5):564-567, 2004.
  12. Coles, L.S., Fries, J.F., Kraines, R.G., Roth, S.H. From Experment to Exercise, side effect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m. J. Med. 74: 820-828, 1983. https://doi.org/10.1016/0002-9343(83)91073-2
  13. 육태한, 송범룡, 신민섭, 김병하, 박종주, 윤정훈. D.I.T.I로 관찰한 경락약침액이 국소체온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7(3):57-68, 2000.
  14. 왕오호, 안규범, 임진강, 장형석. 퇴행성 슬관절염의 봉독약침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18(3):35-47, 2001.
  15. 임정아, 김성철, 김성남, 이성용, 문형철, 신민섭, 김희준, 구성태, 최선미. 침과 봉약침 복합치료의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8(2):29-37, 2005.
  16. 이성노, 홍서영, 조현철, 변임정, 송호섭, 김기현. 봉약침치료의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5):73-81, 2003.
  17. 류수민. 관절강내 봉독요법이 퇴행성 슬관절염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18. 안병준, 김경태, 강미숙, 송호섭. 퇴행성 슬관절염의 봉약침 치료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3(4):15-20, 2006.
  19. 최근선.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봉독의 치료 효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06.
  20. 김행범, 이로민, 이민호, 최양식, 김종인, 이윤호, 이재동.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근육 내 봉독약침과 피내 봉독약침의 효능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5(2):151-164, 2008.
  21. 윤현민. 봉약침요법으로 발생한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2(4):179-188, 2005.
  22. 최영곤, 권기록, 최석호.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와 propionic acid, urea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봉독 성분의 분리. 대한약침학회지 9(2):105-112, 2006.
  23. 나원민, 이성용, 장은하, 김성철. Sweet Bee Venom과 봉약침의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통증감소효과와 Allergy 반응 비교연구. 대한약침학회지 10(2):47-55, 2007.
  24. 김성철, 나원민, 이성용, 장은하, 임승일. 동일 농도(0.1 mg/ml)의 sweet bee venom과 봉약침의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임상연구. 대한약침학회지 11(1):31-40, 2008.
  25. 허태영, 윤민영, 조은희, 이옥자, 김경식, 조남근. 홍화약침의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2):189-200, 2002.
  26. 박기범, 송계화, 이진석, 조진형. 자하거약침의 퇴행성 슬관절염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3(4):163-173, 2006.
  27. 황규선, 정형섭, 백종엽, 이상무, 한희철, 안호진, 정동화. 표고버섯 약침의 퇴행성 슬관절염 치료효과에 관한 임상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8(6):141-150, 2001.
  28. 박은주, 신정철, 나건호, 이동현, 한상균, 윤여충, 채우석, 조명래. 녹용약침의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1(2):275-286, 2004.
  29. 김성철, 임정아, 이종덕, 이상관, 이성용, 문형철, 최선미, 정영해. 근거중심의학에 근거한 퇴행성 슬관절염에 관한 침치료 임상선행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3(1):187-215, 2006.
  30. 변혁, 김선웅, 안지현, 김용석, 서정철, 최선미, 박지은, Kawakita, K., Takahashi, N., Sumiya, E., 이승덕.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맞춤형 침 치료 효과 검증 무작위 대조군 임상연구(RCT). 대한침구학회지 24(4):183-195, 2007.
  31. 채상진, 송호섭. 퇴행성 슬관절염에 체질침요법이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1(4):65-73, 2004.
  32. 박인식, 정찬영, 장민기, 강미숙, 이승우, 김은정, 이승덕, 김갑성.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근위취혈과 원위취혈 침 치료의 효과 비교에 대한 임상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5(2):151-164, 2008.
  33. 민무홍. 사암침법의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효과 연구. 경희대 대학원, 2006.
  34. 이건목, 김도호, 김현욱, 조남근, 최연성, 김형수, 이재규, 송동섭, 이건휘. 오지체표정위법을 이용한 퇴행성 슬관절염의 침도침 치료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5(4):197-202, 2008.
  35. 박민정, 이경윤, 박쾌환, 정애경, 신대희.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슬관절방 1호의 유효성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1(3):249-264, 2004.
  36. 박민정, 서진우, 성인형, 김남옥, 성수민, 정애경, 신대희, 박쾌환.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 대한 슬관절방 1호의 제형변화 유효성 임상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13(2):193-206, 2005.
  37. 서병관, 류성룡, 강중원, 안경애, 이상훈, 최도영, 김건식, 이두익, 이윤호, 이재동.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제통단의 안전성과 효능 임상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6(2):231-240, 2005.
  38. 서병관, 류성룡, 강중원, 우현수, 이상훈, 이재동, 최도영, 김건식, 이두익, 이윤호. 제통단이 퇴행성 슬관절염환자의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2(6):219-228, 2005.
  39. 성현제, 김이화, 황재옥, 류충열. 레인보우 파워 요법 시술이 퇴행성 슬관절염에 미치는 임상 효능연구.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4):85-98, 2003.
  40. 小野田順亮. 레인보우 치료의 모든 것. 大阪, 名鐵局, pp 4-49, 1999.
  41. 김성수, 변용현, 김상호, 라성민, 심영재, 이상석, 김난수, 박현정. 재활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슬관절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2(0):373-383, 1999.
  42. 이우주. 이우주의 약리학 강의. 4. 서울, 의학문화사, pp 345-347, 1998.
  43. 도주호. 골관절염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Lornoxicam과 Acetaminophen의 효능 비교. 계명의대학술지, 22(1):59-66, 2003.
  44. 도주호, 허성은, 백승인, 나종명, 김충현, 이상헌, 박성환, 조철수, 김호연, 김완욱. 무릎 골관절염에서의 초음파 소견에 따른 소염진통제와 acetaminophen의 유효성 비교. 대한류마티스학회지 11(1):14-24, 2004.
  45. 송영준, 하철원. 골관절염의 치료에서 COX-2 선택적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이용. 대한슬관절학회지 21(2):84-92, 2009.
  46. 이도영, 문호생, 조규형, 천정은.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글루코사민의 효과. 대한슬관절학회지 13(1):130-136, 2001.
  47. 박성훈, 박철연, 김성규, 김채기, 최정윤, 신임희. 골관절염 환자에서 piroxicam 함유 패취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대한내과학회지 74(5):537-545, 2008.
  48. Dahl, L.B., Dahl, I.M., Engstron Laurent A., Granath, K. Concetration and molecurar weight of sodium hyaluronate in synovial fluid from patient withrheumatoid arthritis and other arthropathies. Ann Rheum Dis. 44: 817-822, 1985. https://doi.org/10.1136/ard.44.12.817
  49. 이동철, 백승희, 손욱진, 신규식, 한재형.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히야루론산의 효과. 대한슬관절학회지 14(2):213-221, 2002.
  50. 송선옥, 장영준. 무릎골관절염 치료를 위한 hyaluronic acid와 triamcinolone 주입 효과 비교. 대한마취과학회지 47(4):537-541, 2004.
  51. 이재준.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관절내 단독투여와 세정 후 투여의 치료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한림대 대학원, 2006.
  52. 이인재. 홍화자(carthami semen)추출물이 퇴행성 슬관절염의 임상증상에 미치는 효과. 포천중문의과대 대체의학대학원, 2007.
  53. Buckwalter, J.A., Stanish, W.D., Rosier, R.N., Schenck, R.C. Jr, Dennis, D.A., Coutts, R.D. The increasing need for nonoperative treatment of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Clin Orthop Relat Res. 1(385):36-45, 2001.
  54. Fisher, N.M., Gresham, G., Pendergast, D.R. Effect of a quantitative progressive rehabilitation program applied unilaterally to the osteoarthritic knee. Arch Phys Med Rehabil. 74: 1319-1326, 1993. https://doi.org/10.1016/0003-9993(93)90087-Q
  55. 김종임, 김태숙. 슬골관절염 여성을 위한 하지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3(3):401-408, 2006.
  56. 장원석, 배성수, 주무열, 방흥기, 김근조. 하지 근력 강화 운동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동요 면적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1):13-21, 2006.
  57. 장원석, 배성수, 정연우.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하지 근력 강화 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1):31-39, 2007.
  58. 강정선. 수정된 대퇴사두근 등척성 강화운동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2007.
  59. 윤형덕. 등척성 운동과 탄성밴드를 이용한 등장성 운동이 만성 슬골 관절염 환자의 근력, 관절 가동범위, 균형에 미치는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60. 황돈영, 이완희. 대퇴사두근 유연성 운동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기능활동정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9(3):67-75, 2002.
  61. 김옥경. Kaltenborn-Evjenth 방법을 이용한 관절가동운동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 재활보건대학원, 2003.
  62. 박호동. 퇴행성 슬관절 환자에 있어서 8주간 족관절 가동범위운동에 따른 내측/외측광근의 EMG 변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 스포츠과학대학원, 2005.
  63. 고태성. 도수치료와 치료적운동이 퇴행성 슬관절염 여성의 감각운동기능, 기능적수행력과 장애지수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 대학원, 2008.
  64. 배성수, 정형국, 김호봉.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패턴의 운동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0(1):213-221, 1998.
  65. 정현성, 배성수, 정연우.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의 하지패턴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1):21-30, 2007.
  66. 홍은정.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슬관절염 고령 여성의 관절의 기능상태, 근력, 유연성 및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 건양대 보건복지대학원, 2007.
  67. 이희경. 퇴행성 슬관절염의 운동치료 효과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조선대 대학원, 2008.
  68. 조윤경. 재활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 체력, 우울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 대학원, 2007.
  69. 김혜인. 재활프로그램이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13(2):7-16, 2006.
  70. 반도윤. 관절.등척성 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대학원, 2005.
  71. 임재길, 전미경. 무릎 골관절염 노인을 위한 재활운동프로그램의 근력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8(6):59-65, 2006.
  72. 김종임, 김선애, 김지현. 베하스[BeHaS]운동프로그램이 슬관절 골관절염을 가진 중년여성의 통증, 건강상태 및 체중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3(2):242-248, 2006.
  73. 박은정. 수중재활운동후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환자의 대퇴사 두근력, 정적균형, 신체구성의 변화.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6.
  74. 박종숙. 수중운동이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 유연성, 무릎관절 각도, 수면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02.
  75. 최현정. 수중에서의 슬관절운동이 만성 슬골관절염환자의 근력강화, 관절가동역, 통증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 특수교육대학원, 2003.
  76. 김재영. 노인여성 퇴행성슬관절염 환자의 노르딕워킹운동이 통증과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 산업대학원, 2009.
  77. 양승민. 퇴행성슬관절염 환자의 수중운동과 노르딕워킹운동후 하지의 근활성도와 보행형태 및 통증변인 분석. 강릉대대학원, 2009.
  78. 송라윤. 관절염 환자를 위한 타이치 적용. 류마티스건강학회지 8(1):167-172, 2001.
  79. 송라윤, 이은옥, 이인옥. 타이치 운동교실 참여 후 골관절염 여성환자의 통증, 체력, 신체기능 및 우울의 변화. 류마티스건강학회지 9(1):28-39, 2002.
  80. 최정현, 유인영. 타이치 자조프로그램이 슬골관절염 여성노인환자의 관절기능상태, 피로, 낙상공포에 미치는 영향. 학국노년학회지 27(4):913-927, 2007.
  81. 최미경, 원동희, 김연주, 최미옥, 임난영, 송정희. 골관절염 환자의 타이치 자조관리 프로그램 효과. 류마티스건강학회지 14(1):42-51, 2007.
  82. 이은옥, 박상연, 김종임, 김인자, 김명자, 송경애, 이은남, 최희정, 박정숙, 서문자, 김명순, 소희영, 이미라, 박인혜, 김영재, 이인숙, 임난영, 이경숙, 허혜경, 정여숙, 서인선. 자기효능 증진방법을 사용한 자조관리 과정이 관절염환자의 건강 증진에 미치는 효과. 류마티스건강학회지 4(1):1-14, 1997.
  83. 이혜영. 슬골관절염 환자를 위한 타이치운동, 수중운동과 자조관리프로그램의 효과비교. 대한간호학회지 36(3):571-580, 2006.
  84. 송라윤, 이은옥, Paul L, 배상철. 골관절염을 가진 여성의 균형감, 유연성, 심폐기능 및 근력에 대한 타이치 운동과 자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비교. 기본간호학회지 16(1):30-38, 2009.
  85. 정동혁.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무릎통증에 적용된 치료마사지 프로그램의 유용성. Korea Sport Research.16(5):365-377, 2005.
  86. 이경연. 발 반사마사지가 퇴행성 슬관절염 여성노인의 통증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8.
  87. 김은경. 아로마테라피가 퇴행성 슬관절염 여성의 통증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 대학원, 2004.
  88. 김인자, 김은경.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게 시행한 아로마 마사지가 통증, 일상활동 능력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16(2):145-153, 2009.
  89. 지현주. 아로마 마사지요법이 노인의 퇴행성 슬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의약식품대학원, 2007.
  90. 양경한. 전신 밸런스 테이핑요법이 인체균형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2003.
  91. 김은아, 이지원. 밸런스 테이핑요법이 퇴행성슬관절염 여성 노인의 통증과 슬관절운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30-38, 2005.
  92. 정경화, 이은숙. 테이핑요법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4(3):129-140, 2008.
  93. 손길수, 이문환, 이수연, 전혜진. 키네시오 테이핑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외측광근과 내측광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9(1):45-55, 2007.
  94. 손길수, 이문환, 이수연. 키네시오 테이핑이 퇴행성 슬관절염환자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5(1):57-66, 2008.
  95. 정현성, 배성수, 전호영. 보존적 물리치료가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1):67-75, 2006.
  96. 이정찬, 박정진, 신동혁, 최영미, 박남규, 김우규, 이윤종, 이은봉, 송영욱. 무릎 골관절염에서의 펄스 전자기장 치료의 효과. 대한류마티스학회지 11(2):143-150, 2004.
  97. 은선덕, 유연주, 신학수. 겔-타입 인솔이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7(3):181-18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