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Understanding Korean Food on Image, Attitude, and Globalization Regarding Korean Food

한식에 대한 인식이 한식에 대한 이미지, 태도, 세계화와의 영향 관계 - 영어권.일본.중화권을 중심으로 -

  • 권용주 (경희대학교 호텔관광학과) ;
  • 신봉규 (경희대학교 호텔관광학과)
  • Received : 2009.11.27
  • Accepted : 2009.12.28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oretical models to examine the composition factors of recognition, image, attitude toward Korean food and its globalization and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which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Cronbach a valu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3.0 program,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to analyze their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f Korean food influenced its image and attitude toward it. Second, image of Korean food had an effect on attitude toward it. Third, both image and attitude regarding Korean food influence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ccordingly, w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food culture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making a good image of Korean food and its globalization by changing people's recognition, image, and attitude toward Korean food and making them interested in Korean food suitable for globalization. Second, this study will help to make detailed marketing strategies to globalize Korean products and culture through Korean food. Third,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image of Korean food and creating economic benefits by attracting Korean food tourism. Moreover, it will help to give Korean people hope and pride of their lives. Fourth, this study will help to promote activation of Korean food tourist resources by connecting Korean food recognized to be LOHAS and well-being foods with Korean cultural tourist resorts. Fifth, this study will make people have right recognition and attitude by developing nature-friendly and healthy Korean food culture. Sixth, this study will be a detonator for more active studies by encouraging researchers to be concerned about and participate in glob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 continually.

본 연구에서 한식에 대한 인식, 이미지, 태도, 세계화에 대한 구성요인들과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들 요인간의 영향 관계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1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 $\alpha$값을 분석하고,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식에 대한 인식은 한식의 이미지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식에 대한 이미지는 한식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식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는 한식의 세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문 및 한식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식에 대한 인식, 이미지, 태도, 세계화에 적합한 한식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켜 한식의 이미지 제고 및 한식의 세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한식을 통해 한국 제품과 문화를 세계화할 수 있는 세부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문화된 한식에 대한 음식 관광을 유도하여 한식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경제적 이익과 더불어 한국 국민의 삶에 대한 희망과 자긍심을 부여할 수 있다. 넷째, 로하스와 웰빙 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난 한식과 우리 문화관광지를 연계하여 음식 관광 자원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자연 친화적이고 건강적인 한국 고유 음식 문화의 발굴로 우리나라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한식의 세계화 및 상품화에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자들의 참여를 촉진하여 보다 활발한 연구에 기폭제가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