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anryu Star Menu Such as Lee Young-Ae in 'A Jewel in the Palace' and Bae Yong-Joon in 'Winter Sonata'

대장금 이영애와 겨울연가 배용준의 한류 스타 메뉴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Song, Soo-Ik (Dept. of Hotel & Culinary Management, Daewon College) ;
  • Kim, Jung-Soo (Dept. of Foodservice & Culinary Management, Mun Kyung College)
  • 송수익 (대원대학 호텔조리계열) ;
  • 김정수 (문경대학 호텔외식조리과)
  • Received : 2010.01.07
  • Accepted : 2010.02.22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usion food based on Bae Yong-Joon's love in star marketing using Hansik was higher than traditional Hansik based on Lee Young-Ae's A Jewel in the Palace in terms of prefere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y nations. This means that to harmoniously improve the low recognition and tradi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it has its limits so much from modern view. In addition, to establish such menu as international standard one through the fusion of Hansik, trust, which can give a regular balance and belief of service, must be a high priority. As those factors supports the menu, it could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and activation of it with local and international synergistic effects.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한식을 이용한 스타 마케팅에서 배용준의 사랑을 주제로 한 퓨전화가 이영애의 대장금을 주제로 한 전통한식보다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가별 차이는 없었다. 이는 한국의 전통음식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전통성을 현대적 관점에서 조화롭게 개발하는 것이 그만큼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한식 퓨전화를 통한 국제표준 메뉴로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일정한 균형과 믿음을 줄 수 있는 신뢰가 우선시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요인이 뒷받침될수록 현지 국제적으로 상승 효과를 안고 성공적인 정착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