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Country of Origin Labelling and the Traceability System for Hanwoo Beef on Safety and Consumer Trustworthiness

원산지표시제와 생산이력 추적시스템 제도가 한우 쇠고기의 안전성과 고객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 황은경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산업대학)
  • Received : 2009.10.05
  • Accepted : 2010.03.15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afety of Hanwoo beef and consumer satisfac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for 280 consumers of Hanwoo beef in Gyeongsangbuk-do. Among 280 copies, only 245 copies were adopted to analyze. The subjects consisted of 82(33.2%) males and 163(66.5%) females and their age 55(22.4%) of twenties, 52(21.2) of thirties, 86(35.1%) of forties and 52(21.2%) of over fifties. The frequency of purchasing Hanwoo beef was that as consumers were getting older, they tended to purchase more beef. The most popular place for purchasing Hanwoo beef was Hanwoo specialty stores(55.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most favorite retail cuts for Hanwoo beef was Loin(44.5%), followed by ribs(26.1%). The consumers thought that selling imported beef turned into Hanwoo beef occurred 70.2%(sometimes), and 20.8%(yes), 6.1%(don't know) and 2.9%(never). For a method to prevent it, the traceability system(60.4%)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ountry of origin labelling(16.3%). Taking the perfect score 5 points about the country of origin marks and traceability, trustworthiness which was presented the highest points was 3.31, recognition 3.29, experience 3.26 and practical effect 3.07. The average of two systems was 3.23. The average points of the safety and consumer trustworthiness of Hanwoo beef were 2.96 points and 3.13 respectively. The safety and the consumer trustworthi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and jobs.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e current study, it is concluded that if the traceability system and country of origin labelling are managed well by the government, safety and consumer trustworthiness will be improved.

본 조사 연구는, 경북 지역의 한우고기 소비자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우고기의 안전성과 고객신뢰도를 조사하였다. 불충실하게 응답한 35부를 제외하고 총 245부를 선정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자들의 성별은 남성 82명(33.2%), 여성 163명(66.5%)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55명(22.4%), 30대 52명(21.2%), 40대 86명(35.1%), 50대 이상 52명(21.2%)이었다. 한우고기 구매 횟수는 연령이 많을수록 구매 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한우고기 구매처는 한우(농축협) 전문점(55.1%)이 가장 많았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한우고기의 구매 부위는 등심(44.5%)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갈비(26.1%)이었고, 수입쇠고기가 한우 쇠고기로 둔갑 판매에 대한 소비자들의 생각으로는 '다소 그렇다'(70.2%), '매우그렇다'(20.8%), '모르겠다'(6.1%), '전혀 그렇지 않다'(2.9%) 순이었고, 이러한 둔갑판매에 대한 예방대책으론 쇠고기 생산이력 추적시스템(60.4%)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론 원산지 표시제(16.3%)로 나타났고, 이 제도의 도입에서 30?40대의 연령층에서 가장 높았다(p<0.05). 원산지 표시제 및 쇠고기 생산이력 추적시스템에 대하여 5점 만점으로 볼 때, '신뢰성'(M=3.31)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5), '인지도'(M=3.29), 경험성(M=3.26), 실효성(M= 3.07) 순으로 나타났으며, 두 제도의 평균치는 3.23점으로 나타났다. 한우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우 쇠고기의 안전성 및 고객신뢰성에 대하여 안전성은 평균치 2.96점이었고, 고객신뢰성은 평균 3.13으로 나타났다. 안전성과 고객신뢰성은 학력, 소득 및 직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우 쇠고기의 원산지 표시제와 생산이력 추적시스템을 전면 시행하였지만 아직까지 소비자들의 안전성과 고객신뢰도는 아주 크게 높지 않지만, 이 두 가지 제도가 앞으로 좀 더 올바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지속적인 교육과 관리감독이 이루어진다면, 소비자들의 안전성과 고객신뢰도는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