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on Color Make-up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여중고생의 혁신과 또래압력이 색조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Nam, Hun-Ihl (Division of Business, Chosun University) ;
  • Song, Kie-You (Division of Business, Chosun University) ;
  • Lee, Jay (Division of Business, Chosun University)
  • Received : 2010.07.22
  • Accepted : 2010.09.0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Due to the nature of teenage students' common tendency of being drawn to consumption conformity engendered by popular trends, and further expanding their unique collectivist culture, this study presumes that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as well have an influential factor that creates their distinctive trait.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social reference groups, and further scrutinize how these influences transcends to deviant make-up behaviors. A total of 297 subjects,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focused primarily on the degrees of color makeup and the influences imposed by classmat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makeup behavior displayed by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social self-esteem had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Second, perceived visibility conversely had negative impacts on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This indicates that if perceived visibility is at a salient level, this already signifies lack of innovation. Third, makeup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demonstra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ll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ir makeup behaviors. Additionally, peer pressure, in comparison to innovation, had greater influence on makeup behaviors, which indicates that peer pressure play a great role in makeup behavio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urth, makeup behaviors showed strong impacts on makeup satisfaction and rendering deviant behaviors, which indicates that a new direction and perspective regard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keup behavior is critical.

본 연구는 청소년의 특성상 획일적인 유행현상으로 인한 동조소비나 독특한 집단문화의 확산 등을 볼 때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있어서도 그들만의 특성을 지닌 영향요소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이들의 개인적 특성 및 사회적 준거집단에 대한 영향력을 통해 화장행동의 고도화 및 일탈행동으로 이어지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여자 중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색조화장을 하는 정도와 동료 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총 29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있어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혁신과 또래압력 수용정도에 모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또래압력에 부(-) 영향관계를 예측하였으나, 정(+)의 관계를 나타내 또래집단의 특성상 자신에 대한 확신이 높다하더라도 집단에 동조하는 등의 여중고생의 심리적 특성을 나타냈다. 둘째,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가시성은 혁신과 또래압력정도에 부(-)의 영향을 나타내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가시성이 높은 타인의 눈에 쉽게 인식되는 정도이더라도 새로움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가시성은 또래압력을 받기보다는 오히려 또래집단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혁신과 또래압력이 화장행동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행동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혁신보다는 동료 압력에 의한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나 여중고생의 화장행동은 또래 압력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여중고생의 화장행동의 고도화는 화장만족과 일탈행동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