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Picture and Reading Mode on Cognitive Load and Galvanic Skin Response

그림 자료의 제시여부와 읽기모드에 따른 인지부하와 GSR의 차이

  • Ryu, Jee-Heon (Department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류지헌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Received : 2009.11.04
  • Accepted : 2010.02.01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tiguity and reading mode on cognitive load factors measured by Galvanic Skin Response(GSR). In this study two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imposed to participants to measure cognitive load with the high contiguity picture and low contiguity picture. Thirty-fou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to this experiment(experiment group=17, control group=17), and spilt-plot factorial design was applied to control individual difference in galvanic skin response. Tasks of this experiment were reading and summary.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kin conductance response, and perceived difficult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degree of contiguity of visual material(high contiguity vs. low contiguity).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was identification of a significant difference of GSR with low contiguity condition. Indeed it was identified that more complex reading condition required more cognitive loads. This finding supported that different cognitive process might require different amounts of cognitive loads. For the further research, this study discussed the validity of applying physiological signals to assess cognitive loads and relationships the associated affective reactions.

이 연구는 그림 자료의 근접성(고근접 vs. 저근접)에 따른 제시여부와 읽기모드(단순읽기 vs. 요약읽기)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부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전기피부반응을 통하여 인지부하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참가자는 34명(통제집단=17명, 실험집단=17명)이었으며 고근접 조건과 저근접 조건에 대한 반복구획요인설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각 실험조건에서 측정된 과제난이도 지각점수를 공변량으로 투입하여 학습자의 사전지식에 의한 영향력을 통제하였다. 그림 자료의 근접성의 정도에 따라서 고근접 그림 자료와 저근접 그림 자료가 순차적으로 제시되었다. 처음에는 단순읽기 모드가 제시되었고 이후에 요약읽기를 수행하였다. 전기피부반응은 단순읽기와 요약읽기에서 모두 측정되었다. 이 연구의 종속변수는 전기피부반응과 지각된 난이도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근접 자료가 제시된 조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저근접 조건에서는 그림 자료의 제시여부 및 읽기모드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저근접 조건에서는 텍스트만 제시하는 것보다는 그림 자료가 제시될 때 전기피부반응이 올라갔다. 또한 단순 읽기 보다 요약읽기에서 더 높은 전기피부반응이 측정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저근접 그림은 인지부하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읽기모드가 복잡해지면 인지부하가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일한 자료를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인지과정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서 인지부하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습성취과 같은 과제수행 요인과 더 높은 난이도에서의 인지부하 측정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소원, 도경수 (2004). 학습할 내용과 그림 보조자료의 적합성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09-310.
  2. 도경수, 차유영 (2008). 시공간 작업기억 용량과 그림자료의 유형과 내용이 초등학생의 영어 단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인지과학, 19(4), 369-396.
  3. 류지헌 (2009). 컴퓨터 기반 학습에서 인지부하 요인과 GSR의 각성수준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감성과학, 12(3), 279-288.
  4. 목정윤 (2004). 웹 기반 학습자료의 글자체와 강조 방법이 가독성, 선호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5. 윤준채 (2008). 요약하기 읽기 전략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메타 분석적 접근. 2008년 한국교육방법학회 추계학술 심포지엄, 63-72.
  6. 이봉건, 정인원, 김재진, 신철진 (2002). 심상자극과 GSR의 관계에 대한 예비연구: 쾌불쾌를 유발하는 심사자극과 암산과제에 대한 SCL 반응비교. 한국감성과학회지, 5(2), 11-22.
  7. 조경자, 송승진, 한광희 (2002).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정보제시 유형과 인지부하가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인지과학, 13(3), 47-60.
  8. Braten, I. & Samuelstuen, M.S. (2004). Does the influence of reading on reports of strategic text processing depend on students' topic knowledg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2), 324-336. https://doi.org/10.1037/0022-0663.96.2.324
  9. Clariana, R.B. (1992). Media research with a galvanic skin response biosensor: Some kids work up a swea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10. Gerjets, P. & Scheiter, K. (2003). Goal configurations and processing strategies as moderators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and cognitive load: Evidenc from hypertext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38(1), 33-41.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801_5
  11. Ikehara, C.S. & Crosby, M.E. (2005). Assessing cognitive load with physiological sensors. Paper presented at the 38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Sciences.
  12. Lin, T., Hu, W., Omata, M., & Imamiya, A. (2005). Do physiological data relate to traditional usability indexes? Proceedings of ozCHI 2005. Canberra, Australia.
  13. Linderholm, T. & van den Broek, P. (2002). The effects of reading purpose and working memory capacity on the processing of expository tex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4), 778-784. https://doi.org/10.1037/0022-0663.94.4.778
  14. Mayer, R.E. & Anderson, R.B. (1992). The instructive animation: Helping students build connections between words and pictures in multimedia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4), 444-452. https://doi.org/10.1037/0022-0663.84.4.444
  15. Moreno, R. & Mayer, R.E. (1999). Cognitive principles of multimedia learning: The role of modality and contigu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1(2), 358-368. https://doi.org/10.1037/0022-0663.91.2.358
  16. Paas, F. & van Gog, T. (2006). Optimising worked example instruction: Different ways to increase germane cognitive load. Learning and Instruction, 16(2), 87-91.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6.02.004
  17. Paas, F., Tuovinen, J. E., Tabbers, H., & van Gerven, P.W.M. (2003). Cognitive load measurement as a means to advance cognitive load theory. Educational Psychologist, 38(1), 63-71.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801_8
  18. Ryu, J. (2008). Theoretical issues of unobtrusive passive method to assess cognitive load with galvanic skin response.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Technology, 197-201.
  19. Schnotz, W. & Kurschner, C. (2007). A reconsidera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9(4), 469-508. https://doi.org/10.1007/s10648-007-9053-4
  20. Seufert, T. & Brunken, R. (2006). Cognitive load and the format of instructional aids for coherence formation.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0(3), 321-331. https://doi.org/10.1002/acp.1248
  21. Seufert, T., Janen, I., & Brunken, R. (2007). The impact of intrinsic cognitive load on the effectiveness of graphical help for coherence formation. Computer in Human Behavior, 23(3), 1055-1071. https://doi.org/10.1016/j.chb.2006.10.002
  22. Shi, Y., Ruiz, N., Taib, R., Choi, E., & Chen, F. (2007). Galvanic Skin Response(GSR) as an index of Cognitive Load. Proc. CHI 2007. 2651-2656.
  23. Wilson, G.M. (2001). Psychophysiological indicators of the impact of media quality on users. In the Proceedings of CHI 2001 Doctoral Consortium, ACM Press (2001), 9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