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Chromacity of LED Lighting on Time Perception

LED 조명 색도에 따른 시간 인지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09.12.10
  • Accepted : 2010.03.11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LED technology offers versatile lighting control while having a very low environmental impact. Consequently, increasing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emotional impact of LED lighting.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chromacity of LED lighting influences people's time perception. To this end, two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in experiment I(N=28), the subjects compared their perception of the time duration, which was varied from 3s to 20s, for 6 chromatically nuanced lighting conditions, respectively, with that under a daylight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 warm-color nuanced lighting conditions, the subjects perceived time to pass more slowly than in the daylight condition. On the contrary, in cool-color nuanced lighting conditions, the subjects perceived time to pass more rapidly than in the daylight condition. Then, in experiment II(N=39), the subjects were asked to count for 90 seconds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some cognitive tasks. Confirming the results found in experiment I, the subjects perceived time to pass more rapidly in cool-color nuanced lighting conditions than in warm-color nuanced lighting condition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addition, the subjects tended to perceive the time to be shorter when the nuanced color of the light was closer to their preferred color.

최근 LED는 친환경적인 에너지 소비와 자유로운 조명 연출의 가능성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가운데, LED조명을 활용한 인간의 감성적 반응을 유도하는 감성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 설치된 LED조명의 색도를 변화해가면서 실내 생활인들이 시간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받는 것을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하여 밝히고 있다. 실험 1(N=28)에서는 3초~20초에 이르는 짧은 시간을 인지하는데 LED 색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난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는 백색광 환경에 비하여 시간이 더 천천히 지난 것으로 인지한 반면 한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는 백색광 환경에 비하여 시간이 더 빨리 지난 것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주어진 시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동일한 실험환경에서 진행된 실험 2(N=39)에서는 실험참여자가 6가지 색채조명환경에서 별도의 인지 과제를 수행하는 동시에 90초의 시간을 가늠하였다. 실험참여자가 인지한 90초의 소요 시간과 실제 소요된 시간과의 차이에서, 색채조명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밝혀내었는데, 실험 1에서와 마찬가지로 난색 계열보다 한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 시간이 더 빠르게 지난 것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선호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는 시간이 더 빨리 가는 것처럼 인지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브루스 프레이저, 크리스 머피, 프레드 번팅 (박태윤 옮김) (2006). 컬러 매니지먼트, 서울: 바세.
  2. 이진숙, 최승영, 진은미 (1997). 조명광원색이 실내공간에 미치는 영향평가.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9, 21-26.
  3. 정우석, 유미, 권대규, 김남균 (2007). 색채 조명 자극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밀공학회지, 24(10), 131-136.
  4. 지순덕, 이상혁, 최경재, 박정규, 김창해 (2008). 백색 LED 조명의 색온도에 관한 감성평가.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22(4), 1-12.
  5. 최수현, 이연숙 (1989). The Effect of Illumination Level and Light Color on Spatial Perception and Task Performance.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5(1), 109-118.
  6. Hygge, S. & Knez, I. (2001). Effects of Noise, Heat and Indoor Lighting on Cognitive Performance and Self-reported Affec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shology, 21(3), 291-299. https://doi.org/10.1006/jevp.2001.0222
  7. Ohta, N. 최석진, 신재철 역. (2003). 색채공학, 서울: 도서출판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