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blic Library 2.0 기반 지역 커뮤니티지식정보시스템 개념적 설계

A Study on Conceptual Design of Local Community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Public Library 2.0

  • 박미영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미래과학기술전략센터) ;
  • 승현우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
  • 투고 : 2010.02.15
  • 심사 : 2010.03.21
  • 발행 : 2010.03.30

초록

도서관 서비스 혁신이란 지식정보화의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문화적 선도자로서의 변화'를 주도하고 하나의 시스템을 형성해 가면서 공유, 피드백 관계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 상호작용이 활발한 특성화된 고유한 도서관을 만드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Public Library 2.0 서비스 모델을 기반으로 도서관의 서비스 혁신을 통한 디지털 지식정보화 시대에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비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Public Library 2.0 기반 커뮤니티지식정보시스템 구현을 위한 개념적 설계를 목적으로 하며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하여 Library 2.0의 정의, 원칙과 구성요소를 조사 분석하여 혁신을 주도하는 Library 2.0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내 외 Library 2.0의 협력 기술인 블로그, 위키, 인스텐트 메세징, 포드캐스팅, 소셜네트워킹, 플리커를 중심으로 적용 사례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셋째, Public Library 2.0의 정의와 원칙을 살펴보고 Public Librayr 2.0 기반 커뮤니티지식정보시스템 개념적 설계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차세대 공공도서관을 위한 개념적 설계를 위한 것으로 시스템 구현과 테스트를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It is library service innovation that leading change as cultural leader in advance of original technology of knowledge information, sharing and forming a new system, creating a new knowledge in feedback relationship, and constructing a specified unique library in active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ublic library a new vision based on pubic library 2.0 service model through library service innovation in digital knowledge information age. This study aims to improvement community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of conceptual design based on public library 2.0.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ibrary 2.0 service model is proposed with library 2.0 definition, principle and essential factor through literal and e-journal search. Second, application case is searched centering around library 2.0 cooperating technology of blogs, wiki, instant messaging, podcast, social networking, flickr. Third, public library new vision is proposed by definition and principle of public library 2.0. This study is conceptual design for next generation public library and is needed follow research for system implementation and test.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지연 외. 2008. 라이브러리 2.0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요구사항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214-231.
  2. 조재인. 2008. 도서관 정보 수요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169-186.
  3. Casey, Michael. and Laura Savastinuk. 2006. "Library 2.0: Service for the next generation." In Library Journal September 2006. [online] [cited 2009.03.05]. .
  4. Casey, Michael. and Laura Savastinuk. 2007. Library 2.0 A Guide to Pariticipatory Library Service. Information Today, Inc. Medford, New Jersey.
  5. Chowdhury, Gobinda, Alan Poulter, & David Mcmenemy. 2006. At the Sharp End Public Library 2.0 Tpwards a New Mission for Public Libraries as a Network of Community Knowledge. Online Information Review, 30(4): 454-460. https://doi.org/10.1108/14684520610686328
  6. Crawford, Walt. 2006. Library 2.0 and "Libray 2.0." Cites & Insights, 6(2): 1-32. [online] [cited 2009.03.05]. .
  7. Habib, Michael. 2006. Conceptual model for Academic Library 2.0. Michael Habib weblog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nline] [cited 2009.03.05]. .
  8. Maness, M. Jack. 2006. Libray 2.0 Theory: Web 2.0 and Its Implications for Libraries. Webology, 3(2): 1-15. [online] [cited 2009.03.05]. .

피인용 문헌

  1. 국내 대학도서관 블로그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vol.22, pp.3, 201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3.057
  2. 국내 도서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실태조사 vol.44, pp.4, 2010, https://doi.org/10.16981/kliss.44.4.201312.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