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urability Enhancement of Textile Materials for Thermotherapy Massager

온열안마기용 섬유재료의 내구성 향상

  • Lee, Joo-Young (Department of Fiber System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
  • Kim, Ho-Dong (Department of Fiber System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 이주영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파이버시스템공학과) ;
  • 김호동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파이버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0.03.18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wear and abrasion mechanism of conventional PET/Cotton fabric which is used as a lining layer for thermotherapy massager was elaborately investigated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span of the fabrics for Thermotherapy Massager. Based on the destruction mechanism, the feasible PET fabrics were prepared and its anti-wear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It is revealed that the wearing destruction is mainly caused by the repeat abrasion on a specific part of folded fabric as well as abrasion it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prevention of fabric folding while massager is running is essential and the recovery from the crease on a fabric is also necessary to solve this problem. Covered elastic yarn, high twisted yarn, change of fabric structure or different fiber were utilized to prepare the possible alternatives. As a result, the anti-wearing performance of the fabrics are greatly improved to have about 2 times and 1.5 times longer life-span for the fabric with covered elastic yarn and high twisted yarn, respectively.

온열안마기의 내부천으로 사용되고 있는 직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기존 PET/면 혼방직물의 마모현상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난연성 PET 직물을 설계/제조한 후 물리적 성능 및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기존 직물의 경우 구동부분의 반복적인 마찰에 의한 마모뿐만 아니라, 구동시 내부천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접힘 현상이 회복되지 못하기 때문에 직물의 파손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섬유재질의 변경, 신축사, 강연사, 조직의 변경 등을 적용하여 물리적 성능 및 내마모성을 크게 개선한 내부천을 제조하였다. 특히 신축사를 사용 한 직물의 내구성은 크게 향상되어 기존 직물 대비 2배 이상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강연사를 사용한 직물은 약 1.5배 정도 내마모시간이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병기, "섬유공학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pp. 74-76, 9월, 2000.
  2. 김영호 외, "기능성 섬유가공", 교문사, pp. 200, 2월, 2004.
  3. 김영호 외, "기능성 섬유가공", 교문사, pp. 200, 2월, 2004.
  4. Sara J. Kadolph, "Textiles", PrenticeHall, 2006.
  5. 한국섬유공학회, "최신합성섬유", 형설, pp. 109, 442-444, 3월, 2006.
  6. 김동학 외, "플라스틱 지물 코팅재료에 관한 연구" 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4권, 제1호, pp. 42-46, 3월, 2003.
  7. 차옥선, "피복재료학", 경춘사, pp. 284-287, 3월, 2002.
  8. 김동학 외, "Melamine계 난연제를 이용한 Nylon6의 난연성 및 물리적 특성 평가" 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7권, 제4호, pp. 743-748, 8월,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