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강보험 중증질환 급여확대 전후에 따른 진료비 차이에 관한연구

Analysis of Factors which Affect the Medical Utilization Fee after an Increase of Health Insurance Benefits for Patients with Serious Illnesses

  • 이정희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 이무식 (건양대학교 예방의학교실) ;
  • 김지희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 문태영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 김용하 (건양대학교 병원관리학과) ;
  • 김광환 (건양대학교 병원관리학과)
  • Lee, Jung-H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Konyang University) ;
  • Lee, Moo-Si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Kim, Jee-He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Moon, Tae-Young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Ha (Department of Hospital Management, Konyang University) ;
  • Kim, Kwang-Hwan (Department of Hospital Management, Konyang University)
  • 투고 : 2010.02.17
  • 심사 : 2010.04.09
  • 발행 : 2010.04.30

초록

본 연구는 급여 확대 전 2005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6개월간과 확대 후 2006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6개월간 총 255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건강보험 중증질환 보험급여 확대에 따른 진료비 증감 요인을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다. 성별로는 남자 67.8%, 여자 32.2%로 여자보다 남자가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확대 전 후 또한 여자보다 남자가 높은 분포를 보였다. 투약 및 처치에 따른 진료비 5항목 중에서 방사선료가 530만원대로 가장 많았고, 시술료 59만원, 기타검사료 20만원 순이었으며, 투약료가 12만원선으로 가장 낮았다. 급여확대 후에 따른 진료비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투약료는 입원료(p<0.01)와, 주사료는 입원료(p<0.01) 및 투약료(p<0.01)와 시술료는 입원료(p<0.01), 투약료(p<0.01) 및 주사료(p<0.01)와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According to a research analysis of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medical utilization fee after an increase of health insurance benefits for patients with serious illnesses based on 225 patients over 6 months, both before and after the increase of benefits, from January, 1st, 2005 to June 30th, and also from January, 1st, 2006 to June 30th. In terms of genders, 67.8% of males were affected, whereas only 32.2% of females were effected, a much higher rate of men than women. Men also had higher rates before and after the increase of benefits. Out of 5 categories related to medication and treatment, radiation testing was the most expensive at about 5,300,000, operation fees were 590,000, and costs of other testing approximately 200,000 with the least expensive category being 120,000 for medication.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s and increase of benefits, medication was a hospital charge (p<0.01), injection fees were hospital charges (p<0.01), operation fees were hospital charges (p<0.01). Medication fees (p<0.01) and injection fees (p<0.01) were found to be rela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광환, 안상윤. 보건의료 전문인력 수급실태 분석을 통한 이민정책,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0권8호, pp.2141-2149, 2009.
  2. 신진경. "국민건강 보험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청주대학교 사회복지, 행정대학원, 2007.
  3. 김광환(b). 일개 대학병원 의무기록정보 통계를 활용한 산부인과 병원경영 예측에 관한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0권10호, pp.2959-2965,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10.2959
  4. 임준. 사회 안정망으로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방안. 건강보험포럼, 가을호, 2005.
  5. 이태용, 김광환. 대전시 보건소 내원 당뇨병환자들의 치료실태 및 치료 순응도에 관한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0권5호, pp.1141-1147, 2009.
  6. 장혁재. 심혈관질환의 관리 현황 및 과제, 국가 심.뇌혈관 질환 관리정책을 위한 국제회의자료집, 2006.
  7. 서태봉. 건강보험 중증질환급여확대의 효과측정에 관한연구; 심장병수술 환자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07.
  8. 이혜원.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의 비심장 수술시 주술기 관리"학술지논문. 대한마취과학회지, 55권, pp1-8, 2008.
  9. UHDDS; Uniform Hospital Discharge Data Set.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ealth Information Policy Council, Washingtyon, DC, 1984.
  10. 김광환(a). 환자이탈군 특성요인과 이탈환자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하여-. 한국산학기술학회지.10권11호, pp.3480-3486, 2009.
  11. 서남규. 우리나라 국민이 생각하는 건강보험제도-2006년도 국민건강보험 만족도조사결과, 건강보험포럼. 봄:43-67, 2007.
  12. 국민건강보험공단. OECD Health Data를 통해본 한국의 보건의료현실, 2005.
  13. 김정희, 정종찬, 김성옥. 건강보험 환자의 본인부담진료비 실태조사, 국민건강보험공단, 2005.
  14. 서울대학교의과대학 내과학 교실편. 최신지견 내과학, 서울, 고려의학, 2003.

피인용 문헌

  1.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the regional competition (Focusing on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vol.13, pp.10,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405
  2. Factors affecting the hospital profitability (Focusing on the convergence of differences in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surplus and deficit hospital) vol.13, pp.11,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1.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