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athroom design guideline considering the usage pattern of Koreans

한국인의 욕실사용 문화를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 이호숭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
  • 김미영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0.04.21
  • Accepted : 2010.06.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As life gets richer along with social development, the interest in composure of life and in quality of life gets higher. According to this, a concept on bathroom, which had been simply physiological sanitary space before, is being gradually changed, thereby being reborn as space of charging vitality of life and of realizing own desire. As these consumers' new desire is emerged, it is being highlighted the behavior of being made in space now called 'bathroom', the requirements for this space, and the interest in what aims to be pursued. However, current Korean people have different bathroom behavior such as using outside bathtub or filling a washbasin with water unlike the center on stand-up shower in the West, thereby having inconvenience. Accordingly, when bathroom is designed that reflects Korean people's bathroom behavior, the satisfaction with using bathroom will be able to be enhanced.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use satisfaction with bathroom space, to survey Korean people's situations of using bathroom, the inconvenience in using, and the general emotion, and to elicit requirements for bathroom users and basic design guidelines available for reflecting the health in planning bathroom space, the space of solving sanitary problem, and the modern people's physical features and lifestyle.

과거에는 단순한 생리처리 및 위생공간이었던 욕실에 대한 기능이 현대에 들어서는 생활의 활력을 충전하고, 자신만의 욕구와 실현의 공간으로써 활용되는 다기능 공간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의식주에 대한 소비자들의 새로운 욕구와 변화가 나타나면서 현재 '욕실' 공간에서의 행위와 요구사항을 파악할 필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많은 수의 한국인들은 욕실사용에 있어서 서양의 입식(立式) 샤워 방식 외에도 욕조 밖이나 대야 등에 물을 받아 사용하는 등의 욕실사용 행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한국인의 독특한 욕실사용행태를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한국인의 욕실문화가 고려된 욕실구조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욕실공간에 대한 사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인의 욕실사용 정황과 사용 중에 느끼는 불편함과 종합적 감정 등을 조사하여 욕실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도출하며, 욕실 공간계획에 있어서 건강, 위생문제를 해결하는 공간이자, 현대인의 신체특징과 라이프스타일이 반영 가능한 기본적인 설계지침 도출을 연구목표로 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성대학교

References

  1. 김아름, 이연숙 (2004). 소비자 요구에 기반한 미래욕실 연구,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주거학회, 129-134.
  2. 김현, 이승미 (2006).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개념에 기초한 세면대 디자인 개발,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63호 19(1), 한국디자인학회, 335-340.
  3. 권오정, 하해화 (2004).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주택의 욕실 계획, 대한가정학회지, 42(3), 대한가정학회, 131-144.
  4. 박영순, 신인호, 한정원, 이현정 (1996). 한국인의 생활 습관을 근거로 한 욕실의 유형,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15호 15, 한국디자인학회, 21-24.
  5. 이수진, 권현주, 이연숙, 민병아 (2007). Aging in Place를 지원해주는 유니버설디자인 욕실설비 및 제품 특성 분석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12), 대한건축학회, 125-134.
  6. 이영심, 신경주 (1998). 아파트 거주자의 욕실에 대한 의식.만족.요구-30평형대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지 9(1), 한국주거학회, 57-67.
  7. 최서현, 주성만, 홍정표 (2007). 실버세대를 위한 욕실 디자인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07 가을 국제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디자인학회, 230-231.
  8. 황정아, 박영순 (2007).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기반한 고령친화상품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72호 20(4), 한국디자인학회, 79-88.
  9.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시행 2009년 7월 1일 / 보건복지가족부령 제122호, 2009.7.1, 타법개정
  10.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편의시설의 구조.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 (제2조 제1항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