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Odor Characterization and Odor Unit from Livestock Facilities by animals

축산시설의 축종별 악취물질 농도 특성과 악취도 평가

  • Received : 2009.08.26
  • Accepted : 2009.12.24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At recent the number of livestock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farm has changed to large facilities in Korea. So the livestock facilities have become one of major sources of odor e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and assessment of odor unit from livestock facilities for cow, dairy, swine and poultry. The eleven odor pollutants such as $H_2S$, ($CH_3$)SH, $(CH_3)_2S$, $(CH_3)_2S_2$, $CH_3N$, $NH_3$, $(CH_3)_2N$, $(CH_3)_3N$, butyric acid, 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measured for assessment of the odor concentrations from livestock facility. As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major matters of odor from livestock facilities were $NH_3$ and $H_2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H_3$ is measured as 15 ppm at henhouse and $H_2S$ is measured as 858 ppb at penpig facilities. In the comparison of the average odor unit from livestocks, it is found that the highest odor unit was from swine and the lowest odor unit was from cow facility. So odor unit from swine facilities was 12 to 30 times higher than the odor unit from cow facilities.

Keywords

References

  1. 김선규, 2003, 악취농도단위와 악취농도지수간의 상관성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 농림부, 2000, 가축 분뇨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
  3. 농림부, 2000, 돈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 system 개발.
  4. 농림부, 2002, 축사 내 악취제거 및 부유세균 제거장치 개발.
  5. 농림부, 2004, 축산분뇨처리시책 및 기술교육.
  6. 농촌진흥청, 2001, 축산분뇨처리기술.
  7. 농협중앙회, 2001, 생산비 절감을 위한 최신 축사환기 및 구조.
  8. 농촌진흥청, 2002, 가축분뇨 액비 사용기술.
  9. 류희욱, 조경숙, 이태호, 허 목, 2003, 양돈시설 악취관리 : I. 국내 양돈 산업 현황 및 악취 특성,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2).
  10. 류희욱, 조경숙, 이태호, 허 목, 2003, 양돈시설 악취관리 : II. 악취 관리 계획 수립,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2).
  11. 박귀환, 오길영, 정경훈, 정선용, 차규석, 2005, 축산시설의 악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지, 4(4).
  12. 안대희, 오영숙, 김기현, 구윤서, 김명수, 설미진, 전승세, 최여진, 2006, 축산분뇨처리시설 발생 악취 특성, 한국냄새환경학회지, 5(1).
  13. 양성봉, 황희찬, 김태우, 유미선, 한진석, 2003, 알칼리 Beads법에 의한 대기 중 저급 지방산 농도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2).
  14. 수도 PEC 출판부, 2004, 후각과 냄새물질.
  15. 수원대학교, (주)한미 악취분석 및 슬러지 탈수능 조사.
  16. 통계청, 2008, 농업통계정보, 가축사육통계.
  17.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 악취성 황화합물에 대한 GC 검출기술.
  18. 홍대웅, 김수정, 문동호, 주창한, 이종필 2007, 축산폐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배출특성, 한국냄새환경학회지, 6(1).
  19. 환경부, 2001, 악취물질 발생원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20. 환경부, 2004, 우사.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 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