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the Trail of Area Adjacent to GeumJeong Mountain Fortress

금정산성 등산로 주변 식생의 생태적 특성 평가

  • Received : 2010.06.28
  • Accepted : 2010.09.0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are Geumjung mountain fortress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in the north gate of the East gate around the trail to identify the vegetation structure importance value, dominance, species diversity, similarity index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plot on the western slopes elevation 423-636m, slopes of $15{\sim}20^{\circ}$ slope area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Quercus acutissima, Pinus thunbergii, Pinus rigida, Carpinus coreana, Quercus mongolica are fulfilling a community. Trees layer a height 8~12m, coverage 40~70%, sub-trees layer the height 3~7m, coverage 10~80%, shrubs layer the height 0.8~1.5m, coverage 20-30%, herb layer the height 0.1~0.5m, coverage 5-10% were in the range of plot in the east slope elevation 452-647m, slopes in the slope of $5-30^{\circ}$ and Pinus rigida, Pin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Quercus dentata, Carpinus coreana is fulfilling a community. The trees layer height 8~13m, coverage 0~70%, sub-trees layer the height 2~6m, coverage 0~80%, shrubs layer the height 0.8~1.5m, coverage 20-40%, herb layer the height 0.1-0.5m, coverage 5-40% were in the range. The survey showed to be in relatively good vegetation, but in some areas of Pinus rigida, Quercus acutissima, as was predicted in succession, the shrub layer in the plot of some dominated vine plants and vegetation management will be needed for this purpose respectively.

Keywords

References

  1. 김맹기, 이학영, 김종원, 1993, 금정산 동사면계곡 식생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학회지 1- 8.
  2. 김석규, 2010, 금정산성 주변 식생의 생태적 특성과 복원방안,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9(3), 231-245.
  3. 김석규, 박승범, 남정칠, 김승환, 2002, 도시공원녹지의 입지환경과 토양특성이 식생구조와 수목활력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5), 30-44.
  4. 김석규, 주경중, 남정칠, 박승범, 2010, 도시림 식생의 생태적 특성과 복원모델,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2), 80-94.
  5.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I-V, 서울대학교 출판부.
  6. 남정칠, 1994, 금정산의 식물상과 삼림식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농업자원기술연구, 3(1), 119-141.
  7. 남정칠, 박승범, 김석규, 윤상복, 2007, 장산식생의 생태적 특성,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9(5), 2599-2612.
  8. 남정칠, 박승범, 김석규, 윤상복, 2008, 승학산 식생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2B), 1201-1216.
  9.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184.
  10. 박승범, 김석규, 남정칠, 김승환, 강영조, 이기철, 2002, 사상공단 주변 식생의 생태적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0(1), 75-86.
  11. 박인협, 1985, 백운산지역 천연림생태계의 조림구조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배춘화, 1997, 금정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안석곤, 2001, 금정산 식물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오충현, 1992, 도시녹지의 생태학적 조성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윤충원, 1998, 금정산 일대의 삼림식생 분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경재, 1986, 남산공원의 자연환경실태와 보존대책, 서울특별시.
  17. 이경재 외 17인, 1993, 도시 및 공업단지 주변의 Green복원기술 개발(I), 환경처.과학기술처.
  18. 이경재 외 19인, 1994, 도시 및 공업단지 주변의 Green복원기술 개발(II), 환경처.
  19. 이경재, 한봉호, 1998, 부천시 산림지역 아까시나무림 식물군집구조를 고려한 식생관리 모델, 한국조경학회지, 26(2), 28-37.
  20. 이덕봉, 1954, 금정산 식물 조사보고서, 중앙대 30년 기념논문집.
  21. 이창복, 198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2. 임경빈, 1978, 남산공원수림의 피해상태와 그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23. 조우, 1993, 도시림관리를 통한 식물 및 야생조류종다양성 증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조우, 1995, 도시녹지의 생태적 특성 분석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관리모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주상우, 1963, 부산지방식물조사보고, 부산시 교육개발위원회, 195-248.
  26. 한봉호, 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160.
  28. Beardsley, W. C. and J. A. Wager, 1971, Vegetation management on a forested recreation site, Journal of Forest, 69, 728-731.
  29.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skunde, Dritte Auflage, Springer-Verlag, Wien, 865.
  30. Brower. R. and J. 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Iowa: Wm, C., Brown Company Publ.
  31. Cox, G. W., 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n, C., Brown Co, 232.
  32.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33.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65.
  34. Whittaker, R. 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 Monogra 26, 1- 80. https://doi.org/10.2307/1943577
  35. http://www.busa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