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Disposition of Archaeological Remains in Wolseong Fortress of Gyeongju : Using Ground Penetration Radar(GPR)

GPR탐사를 통해 본 경주 월성의 유적 분포 현황 연구

  • Oh, Hyun Dok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Shin, Jong Wo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오현덕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 신종우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Received : 2010.07.14
  • Accepted : 2010.09.02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Previous studies on Wolseong fortress have focused on capital system of Silla Dynasty and on the recreation of Wolseong fortress due to the excavations in and around Wolseong moat. Since the report on the Geographical Survey of Wolseong fortress was published and GPR survey in Wolseong fortress was executed as a trial test in 2004, the academic interest in the site has now expanded to the inside of the fortress. From such context, the preliminary research on the fortress including geophysical survey had been commenced. GPR survey had been conducted for a year from March, 2007. The principal purpose of the recent 3D GPR survey was to provide visualization of subsurface images of the entire Wolseong fortress area. In order to obtain 3D GPR data, dense profile lines were laid in grid-form. The total area surveyed was $112,535m^2$. Depth slice was applied to analyse each level to examine how the layers of the remains had changed and overlapped over time. In addition, slice overlay analysis methodology was used to gather reflects of each depth on a single map. Isolated surface visualization, which is one of 3D analysis methods, was also employed to gain more in-depth understanding and more accurate interpretations of the remain The GPR survey has confirmed that there are building sites whose archaeological features can be classified into 14 different groups. Three interesting areas with huge public building arrangement have been found in Zone 2 in the far west, Zone 9 in the middle, and Zone 14 in the far east. It is recognized that such areas must had been used for important public functions. This research has displayed that 3D GPR survey can be effective for a vast area of archaeological remains and that slice overlay images can provide clearer image with high contrast for objects and remains buried the site.

그동안 신라의 왕성이었던 월성에 대한 연구는 월성을 중심으로 한 도성제와 월성해자 발굴을 통한 월성 주변의 모습에 치중해 있었다. 그러나 2004년에 월성 지표조사보고서가 발간되고 시험적 성격으로서 GPR탐사가 월성 내에서 실시되면서 월성에 대한 학술적 관심은 성내부로 변화되었다. 다행히 경주 월성의 고고학적 기초학술 조사가 시작되고 사업의 일환으로 월성 전 지역에 대한 물리탐사를 2007년 3월부터 1년에 걸쳐 실시하게 되었다. 이번 조사의 기본 목적은 GPR탐사를 실시하여 시험탐사에서 확인된 매장유구를 월성 전체 지역에 대하여 영상화하는 것이다. 미리 설정한 격자망에 수많은 측선을 조밀하게 설치하여 3차원 GPR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조사면적은 $112,535m^2$이다. 분석은 Depth Slice를 실시하여 각 깊이별로 유구의 변화양상과 중복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Slice Overlay 분석법을 이용하여 각 깊이별 반사체를 하나의 도면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3차원 입체분석법인 Isolated Surface 영상화를 실시하여 유구 해석의 이해를 높였다. 그 결과 월성 내에서 총 14개의 구역으로 구분 지을 수 있는 크고 작은 건물지가 확인되었으며, 주목되는 곳은 월성의 서부(2구역), 중부(9구역), 동부(14구역)에 중요시설물일 것으로 짐작게 하는 대규모의 범상한 건물배치가 있는 3개의 구역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3차원 GPR탐사는 광역적인 유적탐사에 매우 효과적이며 그 자료처리에 있어서 Slice Overlay 분석법은 지하 매장물에 대한 쉽고 뚜렷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