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Historical Study on Changes in a Roasted Beef Recipe through Sulhamyukjuk (Part I) - Focus on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until 1950 -

설하멱적을 통해서 본 쇠고기 구이 조리법 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I - 1950년대 이전의 문헌을 중심으로 -

  • Park, Chae-Lin (Department of Folklore, Graduate School of Korean Studies) ;
  • Kwon, Yong-Suk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Sangmyung University) ;
  • Chung, Hea-Jung (Department of Global Korean Culinary Arts, Woosong University)
  • 박채린 (한국학대학원 민속학전공) ;
  • 권용석 (상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 정혜정 (우송대학교 글로벌한식조리학과)
  • Received : 2011.08.16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changes in a Roasted Beef recipe through Sulhamyukjuk.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cient and modern culinary literature published until 1950. The main method of research in this study was content analysis. There were 15 pieces of ancient and modern culinary literature used. In addition, the roasted beef recipes totaled 78. Analysis of recipe data published over the last 300 years showed two different types of Roasted Beef recipes: 1) Roasted Skewered Beef and 2) General Roasted Beef. In the case of Roasted type, the method was divided into three steps: 1) Coating of flour porridge after marinade in the source, 2) Three dippings into cold water during Roasting, and 3) Roasting again with Seasoning.

Keywords

References

  1. 경성부[編]. 1927. 乳製品獸鳥肉鷄卵罐甁詰食品ニ關スル調査. 경성부 산구인쇄소. 경성
  2. 국립민속박물관. 2007. 한민족역사문화도감-식생활.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3. 김동철. 1993. 19세기 우피무역과 동래상인. 한국문화연구. 제6권
  4. 김대길. 1996. 조선후기 우금에 관한 연구. 사학연구. 52호
  5. 김상보. 2010. 상차림문화. 기파랑. 서울
  6. 민속원 편. 2005. 임원십육지(서유구 원저. 1827). 민속원. 서울
  7. 민족문화추진회 편역. 2007. 산림경제(홍만선 원저. 1718). 한국학술정보. 파주
  8. 방신영. 1931. 조선요리제법, 민속원 영인본.
  9. 백두현 편역. 2006. 음식디미방 주해(정부인 안동장씨 원저. 1670년경). 글누림. 서울
  10. 양상현. 1995. 한말 포사 운영과 포사세 수취구조. 한국문화. 16권.
  11. 이강자 등 편역. 2003. 증보산림경제(유중림 원저. 1766). 신광출판사. 서울
  12. 이규태. 2000. 한국인의 밥상문화. 신원문화사. 서울
  13. 이만영. 1798. 재물보(才物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14. 이성우. 1982. 朝鮮時代 調理書의 分析的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경기
  15. 이성우. 1985.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서울
  16. 이성우. 1981. 한국식경대전. 향문사. 서울
  17.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I), 고사신서(서명응. 1711). 수학사. 서울
  18.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I), 민천집설(저자미상. 1752-1822). 수학사. 서울
  19.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I), 증보산림경제(유중림. 1766). 수학사. 서울
  20.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II), 농정회요(최한기. 1830 년대). 수학사. 서울
  21.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 주찬(저자미상. 1855년 이전). 수학사. 서울
  22.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V), 시의전서(저자미상. 1800년대 말). 수학사. 서울
  23.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I), 조선요리법(조자호. 1939). 수학사. 서울
  24.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II), 우리음식(손정규. 1948). 수학사. 서울
  25.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II), 조선요리대략(황혜성. 1950). 수학사. 서울
  26.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II), 조선음식(손정규. 1940). 수학사. 서울
  27.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四季의 朝鮮料理(鈴木商店. 1935). 수학사. 서울
  28.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만가필비)조선요리제법(방신영. 1917). 수학사. 서울
  29. 이해준. 2006. 구한말. 일제강점기 민속문헌해제, 국립문화재연구소
  30. 임동석 편역. 2011. 수신기(干寶 원저. 4세기 경). 동서문화사. 서울
  31. 옛음식연구회 편역. 2001.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 제법(이용기 원저. 1924).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32. 장재한, 김주희 편역. 1982. (국역)산림경제 권 1(홍만선 원저. 1718). 민족문화추진회(한국고전번역원). 서울
  33. 저자미상. 1200년 대 말. 거가필용사류전집. 동경대 소장본
  34. 정양완 편역. 1975. 규합총서(빙허각이씨 원저. 1815). 보진재. 서울
  35. 정옥자. 2002. 정조대 玉溪詩社의 결사와 眞景詩畵. 韓國學報. 28(4):35-36.
  36. 주영하. 2005. 그림속의 음식, 음식속의 역사: '조선'의 표상과 실재에 대해 다시 생각하다. 사계절. 파주
  37. 최영년. 1925. 해동죽지(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장학사. 대전
  38. 한국학문헌연구소 편. 1972. 역어유해(譯語類解)(신이행 등. 1690). 아세아문화사. 서울
  39. 허경진. 1992. 옥계사(玉溪社) 연구. 어문학연구, 2(1):16
  40. Chong YK, Jung WH, Kim YG. (2007). Research trends regarding foodservice management: Review of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J. Foodservice Management, 10(2):73-91
  41. Han KS, Shin SH. (2010). Content Analysis of Learning Classifications of Foodservice and Culinary Majors. Korean J. Culinary Res., 16(2):367-381
  42. Holsti OR. 1968. Content Analysis, in: Lindzey, G. & Aronson, E. eds., The hand 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Reading, MA. Addison-Wesley. 3rd ed., NY: Free Press
  43. Kassarjian HH. 1977.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J. Consumer Res., 4(2):8-18 https://doi.org/10.1086/208674
  44. Kim TH. 1995a.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IV. Roasted Beef. Korean J. Food Culture, 10(4):291-300
  45. Kim TH. 1995b.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V. Roasted Skewered Beef. Korean J. Food Culture, 10(4):301-310
  46. Krippendorff K. 1980.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47. Lee KJ. 2010. Korean Food Culture of Eating Meat during the past 100 years. Doctor degree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pp. 1-263
  48. Lee KJ, Cho MS. 2008.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restaurants from 1980 to 2005. J. Foodservice Management, 11(1):281-306
  49. Lee KJ, Cho MS. 2010. The Change of the Concept and Meaning of Bulgogi in Cookery Book & Dictionar. Korean J. Food Culture, 25(5): 508-515
  50. McGee, H. (2004). On food and cooking : the science and lore of the kitchen. Scribner. New York
  51. Oh IK. 2000. Content analysis: Applications to tourism research. J. Tourism Sci., 24(1):317-322
  52. Weber RP. 1985. Basic Content Analysis. Sage Publication. California
  53. 안상우 집필. 민족의학신문 제 574호. (http://www.mjmedi.com/ news/articleView.html?idxno=9420 2006. 8.11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