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Training Factors on Transfer of Training, Training Satisfaction and Retraining Intentions - Based on the management consultation project for foreign customer service restaurant in Chungnam province -

교육훈련요인이 교육훈련전이, 교육훈련만족도 및 재교육의도에 미치는 영향 - 충남 외국인 이용 음식점 경영 컨설팅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 Jung, Yung-Woo (Dept. of Food Service Management, Paichai University)
  • 정영우 (배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 Received : 2011.08.18
  • Accepted : 2011.12.11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a government-supported project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hygiene levels of food, service, and restaurant facilities for foreign customers in Chungnam province. Data was collected from 53 restaurant owners and restaurant manager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and presents a mode with key factors influencing transfer of training and training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four factors for transfer of training, training satisfaction, and retraining intentions. There are three main findings. First, teaching methods and relevance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ansfer, but instructor and education environment factors did not. Second, the teaching methods, instructor and education environment factors had a direct influence on training satisfaction, but the relevance factor didn't. Third, transfer and satisfaction both were influenced significantly by retrai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trainer, designing training curriculum for a production environment, should emphasize the role of the trainer and focus on learning tools. Finally, a thorough learning design is needed for learner's satisfaction.

본 연구는 외국인고객에 제공되는 음식, 서비스, 위생상태 등 식당환경 개선을 위한 충남지방 유명식당 30여 곳의 식당 업주 및 식당관리자 53명 을 대상으로 진행된 외국인 이용 음식점 운영교육을 위한 정부지원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업 종료 후 네 가지 교육관련 요인을 설정한 후 각각의 요인이 교육훈련 전이와 교육 후 형성되는 학습만족도 및 재교육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내용관련성과 교육방법 요인이 교육훈련전이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교육강사와 교육환경 요인은 교육훈련전이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육강사, 교육환경, 교육방법 요인이 교육 후 만족도에 유의하지만 교육내용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훈련전이와 교육 후 만족도는 모두 재교육의도에 유의하다고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훈련 담당자가 교육훈련을 설계할 때 실제 업무환경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학습도구를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 여부와 강사(교수)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및 학습자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교육훈련 요구 분석을 철저히 하여야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