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Intensive Trunk-Pelvic Stabilization Training Using Sling on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Hemiplegia

편마비 환자에서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 훈련이 근활성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장광오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물리치료실) ;
  • 김경윤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11.01.14
  • Accepted : 2011.03.10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nsive trunk-pelvic stabilizing training using sling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Twenty hemiplegic patients(6 month ${\leq}$, 1 years >) participate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andomly. Control group(n=10) had only general rehabilitation training and experimental group(n=10) had both the general rehabilitation training and intensive trunk-pelvic stabilizing training using sling. They were treated for 30 min./5 times/4 week. I measured ability of trunk control, muscle activity, and balance which were done before and after the intensive training using sling. In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raining,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IS(p<.001), in particular static(p<.05), dynamic(p<.01), coordination(p<.05) and muscle activity of RA(p<.001), EO(p<.001), ES(p<.001), Multifidus(p<.05), FMA(Balance)(p<.01), and static(p<.001) & dynamic(p<.001) balance ability on MTD-Balance system. As this study proved effective therapeutic exercise of trunk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y on intensive trunk-pelvic stabilizing training using sling, it could identify importance of trunk-pelvic stabilizing and control on bal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슬링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의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훈련 시 체간의 근활성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개월 이상에서 1년 된 편마비로 진단 받은 입원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은 4주간, 주 5회, 1회당 30분간 운동치료를 시행하였고, 대조군(n=10)은 일반적 운동훈련만 적용하였고, 실험군(n=10)은 일반적 운동훈련 및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전성 집중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훈련 전 후에 체간조절능력, 근활성도, 균형능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훈련 후, 유의한 차이는 실험군에서 체간조절능력(TIS)(p<.001), 특히, 정적조절능력(p<.05), 동적조절능력(p<.01), 협응능력(p<.05), 근 활성도는 RA(p<.001), EO(p<.001), ES(p<.001), Multifidus(p<.05), FMA (Balance)(p<.01), MTD-Balance에서는 정적(p<.001), 동적균형능력(p<.001) 모두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훈련은 체간의 근활성도와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치료임을 증명하였고, 균형에 있어서 체간-골반 안정화 및 조절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3rd ed). London: Butterworth-Heinemann Medical Books, 1990.
  2. Morris M. E., Summers J. J., Matyas T. A., Iansek R., "Current status of the motor program", Phys Ther, Vol. 74, pp. 738-752, 1994.
  3. Ryerson S., Byl N. N., Brown D. A., Wong R. A., Hidler J. M.,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J Neurol Phys Ther, Vol. 32, No. 1, pp. 14-20, 2008. https://doi.org/10.1097/NPT.0b013e3181660f0c
  4. Handa N., Yamamoto H., Tani T., Kawakami T., Takemasa R., "The effect of trunk muscle exercises in patients over 40 years of age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Orthop Sci, Vol. 5, No. 3, pp. 210-216, 2000. https://doi.org/10.1007/s007760050153
  5. Nichols D. S., Miller L., Colby L. A., Pease W. S., "Sitting balance: its relation to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Vol.77, No. 9, pp. 865-869, 1996. https://doi.org/10.1016/S0003-9993(96)90271-3
  6. Loewen S. C., Anderson B. A., "Predictors of stroke outcome using objective measurement scales", Stroke, Vol. 21, No. 1, pp. 78-81, 1990. https://doi.org/10.1161/01.STR.21.1.78
  7. Cheng P. T., Liaw M. Y., Wong M. K., "The sit to stand movement in stroke pati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falling", Arch Phys Med Rehabil, Vol. 79, No. 9, pp. 1043-1046, 1998. https://doi.org/10.1016/S0003-9993(98)90168-X
  8. Davies P. M., "Right in the middle. Selective Trunk Activity in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Springer-Verlag, Berlin, 1990.
  9. Perry J., "Mechanics of walking in hemiplegia", Clin Orthop, Vol. 63, pp. 23-31, 1969.
  10. Clark M.A., Cummings P.D., "Treinamento de estabilizacao do "core". In: Ellenbecker TS, Reabilitacao dos Ligamentos do Joelho Manole", Sau Paulo, pp. 475-493, 2002.
  11. Trueblood M., "Rehabilitation of Gait in chronic stroke patients", Phys Ther, Vol. 83, pp. 566-581, 2003.
  12. 김미선,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 관절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3. 김선엽, 권재확, "슬링시스템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지, 제7권, 제2호, pp. 1-15, 2001.
  14. 남형천, 박경민, 최명수, 김은영, 박병준, 배유진, "만성 요통 환자의 슬링운동과 매트운동이 요부안정 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제3 권, 제 1호, pp. 47-61, 2007.
  15. 박혜상, 함용운, "슬링운동이 요통환자의 통증정도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6 권, 제2호, pp. 655-661, 2009.
  16. 박선희, "슬링 요부안정화 운동이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7. 김선현, "슬링운동프로그램이 특발성 측만증 여중생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8. 이동률, "슬링운동에 의한 편마비 환자의 견관절 기능 및 정량적 방사선 계측 값 변화", 부산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9. 박승진, "슬링을 이용한 체간 및 골반의 안정화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기능증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0. 염주노, "슬링운동치료와 신경발달치료를 이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이 경도 양하지마비 아동의 보행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8.
  21. Kirkesola G. A., "Concept for exercise and activ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 S-E-T article, 2000.
  22. 박승진, "슬링을 이용한 체간 및 골반의 안정화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기능증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3. Verheyden G., Nieuwboer A., Mertin J., Preger R., Kiekens C., De Weerdt W., "The Trunk Impairment Scale: a new tool to measure motor impairment of the trunk after stroke", Clin Rehabil, Vol, 18, No. 3, pp. 326-334, 2004. https://doi.org/10.1191/0269215504cr733oa
  24. Crow J. L., Harmeling-van der Wel B. C., "Hierarchical properties of the motor function sections of the Fugl-Meyer assessment scale for people after stroke: a retrospective study", Phys Ther, Vol. 88, No. 12, pp. 1554-1567, 2008.
  25. Di Fabio R.P., Badke M. B., "Relationships of sensory organization to balance function in patients with hemiplegia", Phys Ther, Vol. 70, pp. 542-548, 1990.
  26. McGill S. M., Grenier S. G., Kavcic N., Cholewicki J., "Coordination of muscle activity to assure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Electromyo Kinesio, Vol. 13, pp. 353-359, 2003. https://doi.org/10.1016/S1050-6411(03)00043-9
  27. Karatas M., Cetin N., Baytamoglu M., Dilek A.,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Vol. 83, No. 2, pp. 81-87, 2004. https://doi.org/10.1097/01.PHM.0000107486.99756.C7
  28. Lenzi G. L., Altieri M., Maestrini I., "Post-stroke depression", Rev Neul, Vol. 164, No. 10, pp. 837-840, 2008. https://doi.org/10.1016/j.neurol.2008.07.010
  29. 최혜정, 정진욱, "6주간 집중 Core stability Training 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활동체력 및 자세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7권, 제4호, pp. 505-514, 2008.
  30. 신원섭, 김창영, 이동엽, 이석민, "체간의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 2509-2515, 2009.
  31. Hodges P. W., Richardson C. A., "Inefficient muscular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A motor control evalua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Spine, Vol. 21, No. 22, pp. 2640-2650, 1996. https://doi.org/10.1097/00007632-199611150-00014
  32. Kisner C., Colby L. 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3rd ed). Philadelphia : F.A.Davis Company, 1996.
  33. Brill P. W., Cozen G. S., "The Core Program", (1st ed). New York: Bantam Book, 2002.
  34. Marshell P. W., Murphy B. A., "Core stability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 Rehabil, Vol. 86, pp. 242-249, 2005. https://doi.org/10.1016/j.apmr.2004.05.004
  35. Akuthota V., Nadler S. F.,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ehabil, Vol. 85, No. 3, pp. S86-92, 2004.
  36. 박성진, "슬링(sling)운동과 등속성 운동프로그램이 요통환자의 요부근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7.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Leenaerts E., Palinckx A., De Weerdt W.,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 23, No. 3, pp. 281-286, 2009.
  38. Bergmark A.,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A study in mechanical engineering", Acta Orthop Scand Suppl, Vol. 230, pp. 1-54, 1989.
  39. Arokoski J. P., Valta T., Airaksinen O., Kankaanpaa M., "Back and abdominal muscle function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 Archives Phys Med Rehabil, Vol. 82, pp. 1089-1098, 2001. https://doi.org/10.1053/apmr.2001.23819
  40. 김형수, "체간안정화 운동이 만성 요통환자의 자세 조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41. 유성훈, "뇌졸중 환자의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이 근활성도와 상지의 기능에 미치는 효과",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2. 김창영, "체간안정화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체간근력, 동적 균형 감각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3. 양승훈,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제15권, 제1호, pp. 29-38, 2008.
  44. 임종수, "뇌졸중 환자의 체간안정화 운동이 족저압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