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뢰성 확보를 위한 u-헬스케어 소프트웨어 시험 방법

The u-Health care Software Testing Method For a Reliability Secure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김금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투고 : 2010.09.27
  • 심사 : 2011.03.10
  • 발행 : 2011.03.31

초록

현재 u-Health 기술의 표준화 추진 및 국내 자체의 원천 기술 및 기능개발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u-Health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반 기술을 조사하고 u-Health 소프트웨어 시장 동향 및 표준을 조사하였으며, 신뢰성 있는 u-Health 소프트웨어의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u-Health 소프트웨어의 특성 및 서비스 유형을 조사하고 u-Health 기술 동향 및 표준을 분석하였으며, u-Health 소프트웨어 기술적, 기능적 요소를 분석하여 u-Health 소프트웨어를 국제표준 ISO/IEC 9126 에 입각하여 품질평가 항목을 개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u-Health 소프트웨어에 대한 평가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평가모델을 바탕으로 u-Health 소프트웨어 품질 시험평가를 하였다. 신뢰성 확보를 위한 u-Health 소프트웨어에 대한 평가모델 개발을 통해 고품질의 경쟁력을 갖춘 u-Health 제품의 개발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urrently, efforts towards pursuit of standardization of u-Health technology and for development of our own source technologies and functions in Korea are being made continuously. Accordingly, base technologies in the area of u-Health software as well as trends in and standards of u-Health software market were investigated, a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reliable evaluation model for u-Health software. For this purpos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types of u-Health software were examined, and u-Health technological trend and standard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se preliminary research, reliable evaluation model for u-Health software was develop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신효, "의료정보화 및 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 "요양기관 정보화 실태조사 보고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5.
  3. 손미숙, "u-Health 서비스 지원을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 ETRI,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21권 3호, 2006. 9.
  4. 이상학 외, "정보시스템 벤치마크 테스트 방안 연구",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연구보고서, 2006. 12.
  5. S/W 벤치마크테스트 평가모델 개발 이슈, TTA 시험인증연구소 S/W 시험인증센터, 2006.
  6. 권영일, "u-Health 서비스 배경 및 추진현황", HN Focus Vol.19, 2008. 2.
  7. 김법완, "국내 u-Health 등장에 따른 정책대응 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12.
  8. 정병주, "유비쿼터스사회의 의료 보건 비즈니스 트렌드", 유비쿼터스사회연구시리즈 제 17호, 2006.6
  9. 지경용, 김문구, 박종현, "u-health 수용 전망과 시장 개발 방향", IITA, 주간기술동향, 1281호, 2006.2
  10. 강성욱, 김재윤, "유헬스(u-Health) 시대의 도래", CEO Information 602호, 삼성경제연구소, 2007. 5.
  11. 염춘영, 김선배, "건설 분야 ERP 시스템의 품질측정 방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10, no.8, pp2044-2054, 2009. 8. https://doi.org/10.5762/KAIS.2009.10.8.2044
  12. 김경묵, 양해술, "VPN(Virtual Private Network) SW의 시험사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11, no.8, pp3012-3020, 2010. 8. https://doi.org/10.5762/KAIS.2010.11.8.3012
  13. 이희은, "u-Health 시스템의 휴면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사용성 평가 모델 적용 연구", 아주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2009.
  14. 서광규, 안범준, "컨버전스 시대에 로봇산업의 비즈 니스 모델 개발" 한국산학기술학논문지, v10, no.4, pp895-899,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4.895
  15.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BBC Research. 2006.9.
  16. "Home Monitoring Technologies in the Community/ Home Care Environment", British Columb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6.
  17. Bureau Van Dijk, OSIRIS DB, 2007.
  18. Phlilips, "Annual Report 2006", 2007.
  19. "The vault is open: Microsoft makes its big move into health care", Economist,. 2007. 10. 4
  20. "Home Monitoring Technologies in the Community/ Home Care Environment", British Columb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6.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 of Smart Care ubiquitous health service on hypertension management vol.14, pp.3,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3.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