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e-Trade using 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엔진 최적화(SEO) 기법을 활용한 전자무역 마케팅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 Received : 2011.02.11
  • Accepted : 2011.03.12
  • Published : 2011.03.27

Abstract

Recently marketing methods of small and medium exporting firms have changed from internet marketing using homepage, or e-catalogs, to search engine marketing.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proof of search engine marketing effective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marketing performance of search engine marketing(SEM) based on search engine optimization. In order to build an optimal SEM strategy, quantitative data are collected from the Google-analytics such as homepage visits, page views, and traffic source for three year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has carried out a survey to measure the qualitative effectiveness. The result of this quantitative study suggests that the existing carryover effects and lag effects would be maintained through search engine optimization. Meanwhile, the qualitative survey shows that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homepage have been improved after search engine optimization. This can support logically increase of homepage visiting ratio of quantitative analysis. Also exporting companies know very well, that traffic and page views have increased after search engine optimization.

최근 중소수출기업의 마케팅 기법이 홈페이지, 전자카탈로그를 활용한 인터넷 마케팅에서 검색엔진 마케팅으로 변하고 있다. 그리나 이러한 검색엔진 마케팅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실증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석은 검색엔진 최적화 기법을 기반으로 한 검색엔진 마케팅의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의 검색엔진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기 위하여 3년간 홈페이지 방문자수, 페이지 뷰 및 트래픽 소소와 같은 정량적 데이터를 구글 분석기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정량적 데이터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성적인 효과측정으로 설문조사도 병행하였다. 정량적 연구의 결과로서 기존의 지속효과와 지체효과는 검색엔진 최적화 기법을 통하여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성적인 설문조사 결과로서 홈페이지의 만족도와 인지도는 검색엔진 최적화이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량적인 분석에서 홈페이지 방문비율의 증가를 논리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수출기업들은 트래픽과 페이지뷰가 검색엔진 최적화 이후 증가되었음을 매우 잘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