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rvice model strategy for the Promoting of game industry

게임 산업 육성을 위한 서비스모델 전략

  • Kwon, Hyeog-I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
  • Park, Jeoung-Eu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
  • Joo, Hi-Yeob (The Department of Culture-Art Business, Chungang University) ;
  • Choi, Yong-Seok (The Department of Culture-Art Business, Chungang University)
  • Received : 2010.12.27
  • Accepted : 2011.04.07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games industry value creation is possible regions. It typically appears as a Serious Game. Education, medical, defense such as industry and convergence are creating greater added value. The government also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the games industry, and the budget set, game development, support busines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along with business and industry to industry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of regulatory policy and operations are being announced. However, by accessing i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continued growth of the industry's problems is thought to act as. Thus, policymakers in government positions and in fact industry to conduct business in the private sector to reflect both the position of the design of a new development approach is needed. In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game industry development policies, as well as activities at corporate level and industry level, the activities of national at the same time that the service should consider using a model with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 games industry development policy is proposed.

게임 산업은 컨버전스를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한 영역이다. 이는 대표적으로 시리어스게임으로 나타나는데 교육, 의료, 국방 등의 산업과 융합으로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정부도 국가차원에서 게임 산업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예산의 확보나 게임 개발 지원 사업, 인력 양성 사업 개발 등 산업 육성 정책과 더불어 산업 발전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규제정책을 발표 및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각기 다른 시각에서 접근함으로서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있어 문제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산업의 방향성을 설정해야 하는 정책입안자로서의 정부 입장과 실제로 산업 속에서 비즈니스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민간 기업의 입장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육성 접근법의 설계와 도입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게임 산업 육성정책을 살펴보고 기업 수준에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국가 및 산업수준에서의 활동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서비스모델을 이용하여 통합적 관점의 게임 산업 육성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Simon, H. A. "Rationality in Political Behavior," Political Psychology, Vol. 16, No. 1, pp. 45-61. 1995. https://doi.org/10.2307/3791449
  2. 권혁인, 주희엽, 류귀진, 김만진, "산업 혁신을 위한 서비스모델 개발 전략", 한국 IT서비스학회, 9권 4호
  3. 한국콘텐츠진흥원. 국내 문화산업통계조사보고서 2010.
  4.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보고서 제69호 게임콘텐츠의 현황 및 육성방안 2010. 2.
  5.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8년 인터넷 중독 실태 조사 2009.
  6. 김형수, "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게임 산업과 애니메이션 산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7. 小官隆太郞, 奧野正寬, 鈴村興太郞, 日本の産業政策, 東京 : 東京大學出版會. 1984.
  8. 小野五郞, 現代日本の産業政策, 日本經濟新聞社 1999.
  9.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게임백서 2009.
  10. Afuah, A. & C. Tucci, "Internet Business Models and Strategies," Irwin/McGraw-Hill, New York, 2nd Ed. 2003.
  11. Chesbrough, H. & R. S. Rosenbloom, "The Role of the Business Model in Capturing Value from Innovation: Evidence from Xerox Corporation's Technology Spin-Off Companies," Industrial & Corporate Change, Vol. 11, No. 3, pp. 529-555. 2002. https://doi.org/10.1093/icc/11.3.529
  12. Ghosh, S.(1998), "Making Business Sense of the Internet,"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6, No. 2, pp. 126-135. 1998.
  13. Rayport, J. F. & B. J. Jaworski, e-COMMERCE, McGraw-Hill. 2002.
  14. Timmers, P. "Business Models for Electronic Markets," Electronic Markets, Vol. 8, No. 2, pp. 3-8. 1998 https://doi.org/10.1080/10196789800000016
  15. Magretta, J. "Why Business Models Matter," Harvard Business Review, Vol. 80, pp. 86-92. 2002
  16. 권혁인(2010), 서비스모델, 한경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