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Theses Content Related to Parents' Needs for Their Education

부모교육 요구조사 관련 논문 내용 분석

  • Kim, Jong-Ha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oongBu University)
  • 김종한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5.12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 general conclusion through summing up theses on parents' need for their education up to the pres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5 masters' degree theses on parents' need for their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from 2001 to 2010. The results of data on parents' education method and style were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Also it was surveyed if in how many theses the contents of parents' education were rated over average points by Lick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think that the proper frequency of their education is once or two in a semester and the favorite time is from 10 to 12 o'clock or from 2 p. m. to 4 p.m. They also want to learn on Wednesday, Friday and Saturday. And they want a professional as their lecturer the most and then a homeroom teacher. Secondly, in the survey of their education style they like more lecture or a short course than any other thing, and then they like home messenger, group council and so on. But especially they don't like the style of visiting class, book lending, ceremony/class assistance, practice (workshop), and visiting home. Thirdly, they want to know a general guide in the kindergarten of the contents of their education a lot. And they want to know some of a budget, program, and assessment of a principal and the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Fourthly, they want to know all parts of the parents' roles related to rearing their children in their own elements of the contents of their education above all. And they also want strongly their free time, hobby, the liberal arts, amusement and recreation. Fifthly, in the view of infant development they want strongly to know how to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rightly, and how to adjust their children's activities and how to praise or blame their children. And they also want how to form their children's right habit and to guide their children's right acts in the infant period the most. Lastly, they want to know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their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view of infant development the most. And then they want to know the development of sociology, creativity, morality, and emotion in good order.

본 연구는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학부모들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연구한 것을 종합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여 부모교육 커리큘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유치원을 대상으로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조사한 25편의 석사학위 논문이다. 연구방법은 부모교육 방법과 형태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 교육 내용은 몇 편의 논문에서 Likert척도의 평균이상 점수를 받았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부모 교육 방법은 한 학기에 1~2회 정도 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실시 시간대는 10-12시나 14-16시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 요일은 수요일, 금요일, 토요일을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부모 교육 담당자는 전문가를 가장 선호하며 다음으로 담임교사로 조사되었다. 둘째, 부모 교육 형태에 대한 조사에서는 강연회나 강습회를 월등히 선호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가정 통신문, 집단 상담 순이었다. 특히, 수업참관, 도서대여, 행사/수업보조, 실습(웍샵), 가정방문 등은 별로 요구하지 않고 있다. 셋째, 부모 교육의 내용 중에서 기관 운영에 관한 사항은 일반적으로 유치원의 전반적인 안내에 대한 요구도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치원의 예산, 프로그램, 원장과 교사에 대한 평가 등도 일부 요구가 있다. 넷째, 부모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중 부모 자신에 대한 것으로는 일반적으로 아동 양육과 관련된 부모의 역할 전반에 대해 알고자 하는 욕구가 가장 강했으며, 여가, 취미 및 교양 그리고 오락 및 레크레이션 등에 대한 요구도 강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발달에 대한 요구로 유아 양육에 대해서는 아동들과의 올바른 대화법 또는 의사소통에 대한 요구, 문제행동과 행동 수정, 그리고 칭찬하고 꾸중 하는 방법 등에 대한 요구가 강했다. 또한, 유아측면에서는 올바른 생활습관과 생활지도를 위한 것이 가장 많은 요구를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 유아 발달과 관련지은 부모 요구 중에서 가장 많은 요구는 신체 발달과 인지 발달에 대한 것이었으며, 다음으로 사회성 발달, 창의성 발달, 언어 발달, 도덕성 발달, 정서 발달의 순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계숙 외 8인(2007). 부모교육. 서울:창지사.
  2. 이재연, 김경희(1996). 부모교육. 서울:양서원.
  3. 교육인적자원부(2007). 유아교육과정총론. 서울:교육인적자원부.
  4. Bronfenbrenner, U.(1974). Is early intervention effective? A Report on Longitudinal Evaluation of Preschool Programs, Vol II. Washington D. C.:Office of Child Developmen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5. Brand, S.(1996). Making parent involvement a reality:Helping teachers develop partnership with parents. Young Children, 51(2), 76-81.
  6. 김정미(2002). 유치원 부모교육 운영에 관한 교사와 어머니의 요구조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희진(200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에 대한 조사 연구. 교육학연구, 40(6), 239-260.
  8. Evans. J. L.(1997). Breaking Down The Barriers:Creating Integrated Early Childhood Programmes. N.Y:Printice Hall.
  9. Powell, D.(1998). Reweaving parents into the fabric of early childhood programs. Young Children, 53(3), 60-67.
  10. 최외선, 김갑숙(2004). 부모교육 관련 단행본의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부모교육연구, 1(1), 25-39.
  11. 김금란(2000). 유치원 보모교육의 실태와 어머니와 교사의 요구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희란(2001).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실시현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영옥(2009). 부모교육. 서울:공동체.
  14. 김진영, 김정원, 전선옥(2008). (개정)영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서울:창지사.
  15. 한성심 외 5인(2008). 예비부모교육. 서울:공동체.
  16. 정갑순(2007). (개정)부모교육론. 서울:창지사.
  17. 권이종 외 4인(2008).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교육과학사.
  18. 유안진, 김연진(2005).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동문사.
  19. 오영희, 송영란, 강영식(2008).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동문사.
  20. 고정곤 외 6인(2010). 현장중심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양서원.
  21. 전남련 외 5인(2010). 부모교육. 서울:양서원.
  22. 연미희, 김진숙(2010). (개정증보)부모교육 이론과 실제. 서울:동문사.
  23. 박성연 외 5인(2009). 자녀와 진정한 만남을 위한 부모교육. 서울:교육과학사.
  24. 김경혜, 박진옥(2007). 예비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서울:동문사.
  25. 김지현 외 3인(2008). 부모교육. 서울:양서원.
  26. 박화윤 외 4인(2010). 건강한 가정을 이루기 위한 부모자녀관계론. 서울:동문사.
  27. 안영진(2009). 21세기에 적응하는 부모교육. 서울:양서원.
  28. 김명희(2009). 부모교육과 상담. 서울:동문사.
  29. 강용철(2008).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고미아(2001). 유치원 부모교육의 실태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김민경(2009). 유치원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김은(2001).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김은경(2007).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에 따른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김홍령(2003). 유치원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요구조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민숙영(2006). 유치원 부모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박현숙(2010). 유아의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사립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백말순(2003). 부모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조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변수정(2007). 유치원 부모교육의 실태와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소미숙(2001). 유악육기관의 부모참여교육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손복이(2007).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 참여도와 요구도 실태비교:수원시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윤소영(2002).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교육 참여도 및 요구도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재옥(2005). 유치원 부모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연구.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임효선(2010). 가정연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참여 실태 및 인식 요구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전계순(2006). 경기도 지역 카톨릭 유치원의 부모교육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진관(2004).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선호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미상(2002).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유형 및 내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채영희(2008). 부모교육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인식과 요구.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유등미(2003).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정도와 부모교육 요구도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최숙희(2004).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편서향(2001). 유치원의 부모교육 실시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현순영(2001). 2세 유아 부모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유아 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홍미경(2008).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인정(2008).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경험실태 및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이선미(2009).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 교육에 대한 운영실태 및 인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