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Composition Analysis of Natural Ghana Cacao Powder and Evaluation on its Skin Improvement Effect

Natural Ghana Cacao Powder의 Polyphenol 성분분석 및 피부개선효과 연구

  • 심승보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 오성근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 전용진 (청운대학교 화장품과학과)
  • Received : 2011.04.01
  • Accepted : 2011.05.12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Ghana is the country that produces world's biggest production of Cacao. Cacao is the main ingredient of chocolate,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a variety of food as its anti-oxidantal effect is well known to public. Moreover, Ghana-produced Cacao is known to have a bigger amount of polyphenol compared to the ones produced elsewhere, and as they are not processed with alkali Ghana-produced Cacoa is slightly acidic as it is. This project aimed at analysing this natural Ghana Cacao's polyphenol composition, developed cosmetic mask using it and don skin irritation tests in order to study skin improvement effec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hana-produced Cacao contains approximately 3.6% of tannin, showing 5.6 pH. From the result of the first skin irritation test, the result of experiment of the cometic masks which contain 15% of Ghana cacao powder showed that the irritation was not shown. After 120 minutes, in the experiment of skin improvement effect, it was proved to have skin improvement effect, appearing 20% increase in skin moisture, -17% decrease in skin moisture evaporation, convergence of 5.3pH, 24% increase in skin elasticity.

가나는 카카오의 최대산지이며, 카카오는 식품으로 이용하는 초코렛 재료가 되는 원료이며 오래전서부터 항산화 효과등이 알려져서 다양한 식품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가나산 카카오는 다른지역 카카오에 비해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알칼리 처리를 하지 않아 약산성의 자연그대로의 특징이 남아 있다. 이 천연 가나산 카카오의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고 이것을 이용한 화장품 팩제를 개발하여 피부자극실험과 피부개선효과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가나산 카카오파우더에는 약 3.6%의 탄닌성분이 포함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는 5.6을 나타내었고 가나산 카카오 파우더를 15% 함유한 팩제의 실험결과 일차피부자극실험에서는 피부자극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120분후의 피부개선효과를 본 실험에서는 피부 수분량은 20%증가, 피부수분증발량은 17% 감소 피부pH는 5.3수렴, 피부탄력도는 2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연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P. Gasser, E. Lati, L. Peno-Mazzarino, D. Bouzoud, L. Allegaert and H. Bernaert : Cocoa polyphenols and their influence on parameters involved in ex vivo skin restructu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2008, 30, 339-345 https://doi.org/10.1111/j.1468-2494.2008.00457.x
  2. 이만종, 장영렬, 임무현 : Cacao bean으로부터 분리된 polyphenol성분의 화학구조분석과 ACE 저해효과. 한국농화학회지 제41권 제1호 (1998)
  3. Jinap, S : Organic acids in cocoa beans. Asean Food j. 9(1), 3 (1994).
  4. 작물의 유용성분 분석 및 평가 (작물과학원) '페놀화합물 분석' p.43-50
  5. 유남희, 백소현, 윤성중 : 폴리페놀 고함유 식물의 간편 PCR 분석. Korean J. Plant. Res. 2001년 14권 3호 p.235-240
  6. 이양숙, 주은영, 김남우 : 싸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 Korean J. Food Presrv. 2006년 13권 5호 p.616-622
  7. 소병화 : 피부생리를 평가하는 비침습적 생물공학측정장비의 응용. 한국피부장벽학회 2003년 5권 1호 p.46-p.52

Cited by

  1. The Study of Development Skin Improvement Cosmetic By Spring Water of Onyang vol.12, pp.9,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9.4257
  2. The Effect of Rosehip Extracts Addition on Permanent Wave and Hair Dye during Repetition Procedure vol.17, pp.2, 2013, https://doi.org/10.12940/jfb.2013.17.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