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nection/Cooper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and Writing Instruction for Academic Students

대학생을 위한 정보 활용능력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협력에 관한 연구

  • 한만성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1.02.18
  • Accepted : 2011.03.08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terconnections that exist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ILI) and writing instruction to gain further insigh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forming of Korean ILI program. First of all, as evidenced by the ambiguity and various concepts that are possessed by the information literacy, this paper clearly indicates that the ILI cannot be achieved with a standardized set of guidelines across the board. And then, after investigating into the theories which deal mainly with the relativity to writing amongst the various ILI programs, this paper introduces precedents of Utah University, USA and Windsor University, Canada which have carried out writing instruction by actually connecting it with the ILI. Finally, this paper sounds out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s or cooperation between writing and ILI within the scope of the Korean situation and suggests alternatives.

이 연구는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 협력의 이론과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정보 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과 관련된 통찰력을 얻고자 하였다. 우선 정보 활용능력이 가진 모호성과 다양한 개념을 통해 정보 활용능력 교육 또한 일률적인 지침이나 표준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음을 밝혔다. 또 다양한 정보 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글쓰기와의 연관성을 비중 있게 다룬 이론적 배경을 살펴 본 뒤, 실제로 글쓰기 교육을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연계하여 협력적으로 실행한 미국 유타 대학과 캐나다 윈저 대학의 사례 연구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상황에서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 또는 협력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영. 2002. 정보이용능력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297-320.
  2. 고영만. 2001. 정보교육의 문화적 담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3): 79-92.
  3. 고영만. 2010. 정보문해론,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4. 김상호. 2003. 문헌비평론. 대구: 태일사.
  5. 김성은, 이명희. 2006.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177-200.
  6. 박성창. 2000. 수사학. 문지스펙트럼 지식의 초점, 6-003. 서울: 문학과지성사.
  7. 백영균 외. 2010.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3판. 서울: 학지사.
  8. 심경호. 2007. 한학입문, 신판. 서울: 황소자리.
  9. 유소영. 1997. 정보교과목과 타 교과목의 통합적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4): 53-81.
  10. 이상렬. 2010. 정보조사와 글쓰기. 서울: 에듀컨텐츠.
  11. 이지헌 외. 2005. 敎育學의 理解. 서울: 학지사.
  12. 이창수, 김신영. 2003. 정보이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구성원간 협력방안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1): 231-250.
  13. 이현실. 2004.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정보활용 능력 교육 항목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303-322.
  14. 이현실, 최상기. 2005.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인식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1): 91-112.
  15. 장덕현, 최고운. 2008.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37-60.
  16. 전성기. 2007. 인문학의 수사학적 탐구: 언어학.번역학.수사학.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17. 진혜영, 황인영. 2003. 국내 대학의 정보이용능력 교양교육의 표준지침 수용에 관한 연구. 제10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0: 284-294.
  18. 최상희, 박명규. 2005. 정보활용 교양교육에 대한 수강생의 수용 양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121-137.
  19. 최정임, 장경원. 2010. PBL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20. 크루제, 오토. 2009. 공포를 날려버리는 학술적 글쓰기 방법. 김종영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1. 쿨싸우, 캐롤. 2000. 정보탐색과정론. 김효정, 이병기 공역. 첨단정보총서, 5. 군포: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2. 포스너, 리처드 앨런. 2009. 표절의 문화와 글쓰기의 윤리. 정해룡 옮김. 부산: 산지니.
  23. ALA. 1989. Final Report. [cited 2011.2.9]. .
  24. Bowles-Terry, M., E. Davis and W. Holliday. 2010. 'Writing Information Literacy' Revisited: Application of Theory to Practice in the Classroom.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9(3): 225-230. https://doi.org/10.5860/rusq.49n3.225
  25. Bronshteyn, K. and R. Baladad. 2006. Librarians as Writing Instructors: Using Paraphrasing Exercises to Teach Beginning Information Literacy Student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2(5): 533-536. https://doi.org/10.1016/j.acalib.2006.05.010
  26. Elmborg, J.K. 2003. Information Literacy and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Sharing the vision. Reference Services Review, 31(1): 68-80. https://doi.org/10.1108/00907320310460933
  27. Grassian, E. S. and J. R. Kaplowitz. 2009.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2nd ed. New York: Neal-Schuman.
  28. Hunt, Russell. 2002. Four Reasons to be Happy about Internet Plagiarism. Teaching Perspectives, 5(1-5).
  29. Jacobs, H. L. M. 2008. Information Literacy and Reflective Pedagogical Praxi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4(3): 256-262. https://doi.org/10.1016/j.acalib.2008.03.009
  30. Jacobs, H. L. M. and D. Jacobs. 2009. Transforming the One-Shot Library Session into Pedagogical Collaboration: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English Composition Clas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9(1): 72-82. https://doi.org/10.5860/rusq.49n1.72
  31. Kerr, P. 2010. Conceptions and practice of information literacy in academic libraries: Espoused theories-in-use. Ph. D. Dis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32. Kuhlthau, C. C. 2004. Seeking meaning: a proces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2nd ed.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33. Norgaard, Rolf. 2003. Writing Information Literacy: Contribution to a concept.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3(2): 124-130.
  34. Norgaard, Rolf. 2004. Writing Information Literacy in the Classroom: Pedagogical Enactments and Implication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3(3): 220-226.
  35. Pawley, C. 2003. Information Literacy: A Contradictory Coupling. Library Quarterly, 73(4): 422-452. https://doi.org/10.1086/603440
  36. Purdue, J. 2003. Stories, Not Information: Transforming Information Literacy.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3(4): 653-662. https://doi.org/10.1353/pla.2003.0095
  37. Shapiro, J. J., S. K. Hughes. 1996. Information Literacy as a Liberal Art. Educom Review, 31(2). [cited 2011.1.14]. .
  38. Todd, R. 2010. From Information to Knowledge: The Information Literacy Conundrum.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131-153.

Cited by

  1. 교양교육으로서 정보활용능력 교육 위상 강화 방안 vol.48, pp.4, 2011,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051
  2.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vol.32, pp.3, 2015, https://doi.org/10.3743/kosim.2015.32.3.001
  3.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특징과 과제 vol.48, pp.3, 2011, https://doi.org/10.16981/kliss.48.20170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