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ward an integrated model of emotion recognition methods based on reviews of previous work

정서 재인 방법 고찰을 통한 통합적 모델 모색에 관한 연구

  • Park, Mi-Sook (Department of Psychology/Brain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Ji-Eun (Department of Psychology/Brain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ohn, Jin-Hun (Department of Psychology/Brain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박미숙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뇌과학 연구소) ;
  • 박지은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뇌과학 연구소) ;
  • 손진훈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뇌과학 연구소)
  • Received : 2011.02.11
  • Accepted : 2011.03.08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Current researches on emotion detection classify emotions by using the information from facial, vocal, and bodily expressions, or physiological responses. This study was to review three representative emotion recognition methods, which were based on psychological theory of emotion. Firstly, literature review on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s based on facial expressions was done. These studies were supported by Darwin's theory. Secondly, review on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s based on changes in physiology was conducted. These researches were relied on James' theory. Lastly, a review on the emotion recognition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multimodality(i.e., combination of signals from face, dialogue, posture, or peripheral nervous system). These studies were supported by both Darwin's and James' theories. In each part, research findings was examined as well as theoretical backgrounds which each method was relied on. This review proposed a need for an integrated model of emotion recognition methods to evolve the way of emotion recognition. The integrated model suggests that emotion recognition methods are needed to include other physiological signals such as brain responses or face temperature. Also, the integrated model proposed that emotion recognition methods are needed to be based on multidimensional model and take consideration of cognitive appraisal factors during emotional experience.

정서 컴퓨팅 분야는 인간과 컴퓨터 간 상호작용을 효과적이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정서를 재인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학적 이론에 기반한 정서 재인 연구들을 고찰하고 보다 진보된 정서 재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본론에서는 심리학적 이론에 근거한 대표적인 정서 재인 방법을 고찰하였다. 첫째, Darwin 이론에 근거한 얼굴 표정 기반 정서 재인 방법을 고찰하였다. 둘째, James 이론에 근거한 생리신호기반 정서 재인 방법을 고찰하였다. 셋째, 앞의 두 이론에 통합적으로 근거한 다중 모달리티 기반 정서 재인 방법을 고찰하였다. 세 가지 방법들은 이론적 배경과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 결과들을 중심으로 고찰되었다. 결론에서는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종합하여 보다 진보된 정서 재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한된 생리 신호에 대한 대안으로 다양한 생리 반응(예., 뇌 활동, 얼굴온도 등)을 정서 재인에 포함하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애매한 정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정서의 차원 개념에 기반한 정서 재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셋째, 정서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소를 정서 재인에 포함하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서 재인 방법은 다양한 생리 신호를 포함하고, 정서의 차원적 개념에 기반하며, 인지적 요소를 고려한 통합적인 모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