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zing Canadian Students' Cognition Type on Korean Food Consumption: Focused on Q-methodology

캐나다 대학생의 한국음식 소비유형분류: Q방법론을 중심으로

  • 김진강 (수산자원사업단 자원조성실) ;
  • 이춘수 (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 Received : 2011.05.25
  • Accepted : 2011.06.15
  • Published : 2011.06.27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and 'Q-Methodology' into the global marketing realm in attempt to find out how Canadian consumers will perceive Korean food. The ultimate aim of this thesis is to lay a basic foundation to globalize Korean food and heighten the potential and quality of Korean food. Korean food, well-known as slow diet, jumps on the bandwagon of the Korean Wave and spreads at a rapid pace. At this point, most Korean food becomes widespread under the influence of the boom of not just the Korean Wave but also the growing desire for health food. Hence, it is the most important to analyze consumers' types in order to learn how each individual nation perceives Korean Food. This can be used as the basic research and study to enha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food. Q-methodology is adopted in this study to reveal the critical dimens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market and/or consumers for Korean Food using the Canadian respondents' subjective attributes. Three categories (pragmatic trend type, traditional culture seeking type, a beginner type) of Canadian consumer behavior regarding Korean Food are found and suggested in this study. The objective attributes of Korean food are not considered here, but the Canadian consumers' subjective behavioral attributes are.

캐나다음식시장은 아시아에서 시작된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음식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괄목하게 늘고 있어 중요 소비시장으로서의 성장가능성과 함께 꼭 공략해야할 목표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캐나다 내 한국음식을 세계화하는 초석이 마련되고 한국음식의 우수성과 개발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캐나다 정부에서는 자국의 인구 증가를 위해 강력한 이민 정책을 펼쳐오고 있다. 따라서 캐나다는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과 음식문화가 뿌리를 내려 한국음식의 소비시장으로서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음식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 캐나다의 한국음식을 인식하는 소비자들의 유형을 파악해보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Q방법론을 통하여 캐나다 응답자의 주관성을 이용해 한국음식에 대한 중요한 차원, 목표 시장의 특성, 한국음식을 소비하는 캐나다 대학생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음식에 대한 캐나다 대학생 유형의 세 가지 범주(실용적인 트렌드 타입, 전통 문화 추구 타입, 초심자 타입)를 발견하고 한국음식의 객관적인 특성보다는 캐나다 대학생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주관적인 특성을 밝히고 포지셔닝 전략을 위한 기초를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