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u-Health Care Services in the Life Environment

생활환경 기반 u-건강관리서비스 설계 및 구현

  • 홍인화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김주영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가정의학과) ;
  • 최호천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 김찬규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정광모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김남일 (가천의과학대학교 정보공학부) ;
  • 강정진 (동서울대학교 정보통신과)
  • Received : 2011.11.20
  • Accepted : 2011.12.16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paper shows a u-Health management system in user's Life environment,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by enterprises. It's designed for users(citizens) and service provider(especially providing medical service). This paper is discussing on the proof on the service model being operated near the Tancheon stream in the city of Sung-nam. To maximize users' satisfaction, this service has been designed on four disciplines(so easy, so simple, well-customized, funny feedback) in the viewpoint for users. Its algorithm has 4 levels which are measurement, prescription, monitoring and feedback. In the system. there are HCBs(health check boothes) checking out status and assessment of users, customized health prescription customized a health management service prescription engine, exercise programs customized on exercise equipments near the stream and monitoring system.

논문은 U-Health Service 기술분야로 기존의 사업자 중심의 U-Health Service와 달리 이용자(시민)와 서비스 제공자(의료서비스) 관점에서 건강관리 서비스를 기획하고, IT기술을 활용하여 개발 구축한 서비스이며, 성남시 지원의 산학연과제로서, 성남시 탄천변에 구축 운영중인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 논문이다. 본 건강관리 서비스는 이용자 관점에서 서비스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4가지 주요원칙(최대한 단순하게, 최대한 가볍게, 맞춤형을 지향, 재미있는 피드백)하에 구현하였으며, 건강 관리서비스의 핵심 알고리즘은 평가/처방/모니터링/피드백의 4가지 단계로 구성되어있고. 시스템 구성은 평가 부분은 성남시 탄천변의 금곡공원에 건강지킴이 부스를 설치하여 RFID와 체성분계, 혈압계를 연동한 건강측정 및 평가를 제공하고, 건강관리서비스 처방엔진을 통해 개인 맞춤형 건강행동 처방(운동처방 및 건강신호등 처방)이 제공되며, 처방된 운동 처방은 탄천변의 기 구축된 운동시설(근력, 유산소)을 통해 이용자 스스로가 맞춤형 운동을 시행하고, 모니터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피드백 서비스가 제공된다. 본 건강관리 서비스는 2010년1월 ~ 12월(개발), 2011년 1월~2월(시범서비스 및 시스템 안정화), 2011년 2월 ~ 3월(분당 서울대병원 중심의 50명의 임상군을 대상으로 한 2개월간의 임상시험), 2011년 3월부터 현재 까지 600여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시민 자율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생활환경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몇 가지 이용자 측면에서의 이용 편이성을 높이고, 지자체/의료기관/방송사업자가 연계된 사업모델이 발굴된다면 향후 유비쿼터스 건강관리 서비스 분야에서 성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Wagner, E.H., et al., An assessment of health hazard/health risk appraisal. Am J Public Health, 1982. 72(4): p. 347-52. https://doi.org/10.2105/AJPH.72.4.347
  2. Goetz, A.A., J.F. Duff, and J.E. Bernstein, Health risk appraisal: the estimation of risk. Public Health Rep, 1980. 95(2): p. 119-26.
  3. Dunton, S., An introduction to health risk appraisal at the workplace. Worksite health promotion: Needs, approaches, and effectiveness, ed. J.P.M.J.K. David. 1991, Lansing, Michiga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4. Fielding, J.E., Appraising the health of health risk appraisal. Am J Public Health, 1982. 72(4): p. 337-40. https://doi.org/10.2105/AJPH.72.4.337
  5. Adams, J., et al., Primary care at the worksite: the use of health risk appraisal in a nursing center. AAOHN J, 1995. 43(1): p. 17-22.
  6. Cowdery, J.E., L.S. Suggs, and S. Parker, Application of a Web-based tailored health risk assessment in a work-site population. Health Promot Pract, 2007. 8(1): p. 88-95. https://doi.org/10.1177/1524839905278892
  7. Suka, M. and K. Yoshida, Health Risk Appraisal using Internet technology. Methods Inf Med, 2005. 44(2): p. 310-4. https://doi.org/10.1055/s-0038-1633969
  8. Kashima, S.R., Transitioning from a pen-and-paper health risk appraisal to an online health risk appraisal at a petroleum company. Health Promot Pract, 2006. 7(4): p. 450-8. https://doi.org/10.1177/1524839905275390
  9. Chobanian, A.V., et al.,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2003. 42(6): p. 1206-52. https://doi.org/10.1161/01.HYP.0000107251.49515.c2
  10. Anderson, D.R. and M.J. Staufacker, The impact of worksite-based health risk appraisal on health-related outcom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Health Promot, 1996. 10(6): p. 499-508 https://doi.org/10.4278/0890-1171-10.6.499
  11. Racette, S.B., et al., Worksite Opportunities for Wellness (WOW): effects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fter 1 year. Prev Med, 2009. 49(2-3): p. 108-14. https://doi.org/10.1016/j.ypmed.2009.06.022
  12. 이혜정, WHO 국제신체활동도 설문. 가정의학회 2004, 25(11): p. S396-S406.
  13. Min SK,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s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nd WHOQOL-BREF. Qual Life Res, 2002, 11(6): p. 593-600. https://doi.org/10.1023/A:1016351406336
  14. 박세진, 김철중, 김시경, 모하메드 마줌덜, "쾌적한 생활 설계를 위한 주거 및 사무실 시뮬레이터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8, pp. 853-860, 2007.
  15. 정윤수,김용태, "아이핀 기반의 유헬스케어 사용자 정보 보호 프로토콜" 한국정보기술 학회 논문지 제 9권 제 10호, 2011.
  16. 채호석, 김정아, 최민희, 오성영, 이민호, 이치우, "임상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기반 u-health 포털 시스템 참조 모델" 한국정보 기술학회 제 9권 제 7호, 2011
  17. 노영식, 변영철, 이동철, "OSGi 환경기반 생체 신호 센서 데이터 처리 플랫폼" 한국정보 기술학회 제 8권 제 9호, 2010
  18. 심동희, "USN 기반 원격건강모니터링시스템 설계" 한국정보 기술학회 제7권 제4 호, 2009